러시아, 독도 영공침범 부인…국방부 "사실 왜곡"
[앵커]
러시아가 어제 있었던 군용기의 우리 영공 침범 사실을 부인했습니다.
또한 우리 군의 조종사들이 자신들의 비행항로를 방해했다고 주장했는데요.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한 내용 알아보겠습니다.
정다예 기자.
[기자]
네, 러시아는 오늘 주러시아 무관부를 통해 우리 정부에 공식 전문을 접수했습니다.
러시아의 군용기가 우리 영공을 침범하지 않았다는 내용인데요.
또한 러시아는 오히려 우리 조종사들이 러시아 군용기의 비행 항로를 방해하고, 안전을 위협하는 비전문적인 비행을 했다고 주장하기도 했습니다.
이런 러시아의 전문에 대해 국방부는 즉각 반박을 했습니다.
국방부는 "러시아의 주장은 사실을 왜곡한 것뿐만 아니라 어제 외교 경로를 통해 밝힌 유감표명 입장과도 배치된다"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국방부는 어제 오전 러시아 폭격기 2대가 KADIZ를 무단침입했고 조기 경보통제기 1대가 독도 영공을 두차례 침범한 것은 분명한 사실이라고 다시 한번 강조했는데요.
국방부는 우리 공군기가 경고방송을 하고 차단비행 후 경고사격을 실시한 명확한 근거자료를 가지고 있다면서 실무협의를 통해 러시아에 이 사실을 확인시킬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앵커]
그런데 공식 전문을 접수하기 전까지는 러시아가 영공침범 사실을 인정했다고 하지 않았나요?
어떻게 된 일인지 설명을 해주시죠.
[기자]
네, 러시아가 영공침범을 인정했다는 것은 윤도한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이 오전 브리핑에서 밝힌 내용입니다.
윤수석은 러시아 정부가 한국 영공 침범에 깊은 유감을 표명하며 이번 일에 대한 조사에 착수하겠다고 밝힌 사실을 전했습니다.
러시아 차석 무관이 어제 오후 우리 국방부 정책기획관을 직접 만나 이렇게 전해왔다는 건데요.
"기기 오작동으로 계획되지 않은 지역에 진입한 것으로 생각한다. 최초에 계획된 경로였다면 이런 상황이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러시아가 밝혔다는 게 윤 수석의 설명입니다.
일단 청와대가 브리핑을 한 뒤 러시아가 다른 내용의 전문을 국방부에 접수한 것으로 보이는데요.
정확한 사정은 확인이 되는 대로 전해드리겠습니다.
[앵커]
러시아의 영공 침범 과정에서 일본 정부가 독도를 일본 땅이라는 억지를 부린 데 대해서도 반박 입장을 냈다고요?
[기자]
네, 그렇습니다.
"일본은 일본방공식별구역에 대한 부분만 갖고 입장을 내면 될 것 같다" 이게 청와대의 반응입니다.
청와대 관계자는 "우리 영공에 대한 문제는 우리가 답할 부분"이라며 이같이 밝혔는데요.
국방부도 오늘 입장 자료를 통해 "일본 측의 주장은 일고의 가치도 없으며, 독도는 역사적·지리적·국제법적으로 명백한 대한민국 영토"라고 말했습니다.
또 "독도에 대한 어떠한 외부의 침범에 대해서도 단호하고 엄중하게 대응해 나갈 것임을 분명히 밝힌다"고 덧붙였습니다.
한편 청와대는 어제 국가안전보장회의, 즉 NSC가 소집되지 않았다는 야당의 지적에 대해서도 "실효성 있는 조치가 중요하지 NSC를 여느냐 마느냐는 중요한 것 같지 않다"고 반박했습니다.
지금까지 연합뉴스TV 정다예입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앵커]
러시아가 어제 있었던 군용기의 우리 영공 침범 사실을 부인했습니다.
또한 우리 군의 조종사들이 자신들의 비행항로를 방해했다고 주장했는데요.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한 내용 알아보겠습니다.
정다예 기자.
[기자]
네, 러시아는 오늘 주러시아 무관부를 통해 우리 정부에 공식 전문을 접수했습니다.
러시아의 군용기가 우리 영공을 침범하지 않았다는 내용인데요.
또한 러시아는 오히려 우리 조종사들이 러시아 군용기의 비행 항로를 방해하고, 안전을 위협하는 비전문적인 비행을 했다고 주장하기도 했습니다.
이런 러시아의 전문에 대해 국방부는 즉각 반박을 했습니다.
국방부는 "러시아의 주장은 사실을 왜곡한 것뿐만 아니라 어제 외교 경로를 통해 밝힌 유감표명 입장과도 배치된다"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국방부는 어제 오전 러시아 폭격기 2대가 KADIZ를 무단침입했고 조기 경보통제기 1대가 독도 영공을 두차례 침범한 것은 분명한 사실이라고 다시 한번 강조했는데요.
국방부는 우리 공군기가 경고방송을 하고 차단비행 후 경고사격을 실시한 명확한 근거자료를 가지고 있다면서 실무협의를 통해 러시아에 이 사실을 확인시킬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앵커]
그런데 공식 전문을 접수하기 전까지는 러시아가 영공침범 사실을 인정했다고 하지 않았나요?
어떻게 된 일인지 설명을 해주시죠.
[기자]
네, 러시아가 영공침범을 인정했다는 것은 윤도한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이 오전 브리핑에서 밝힌 내용입니다.
윤수석은 러시아 정부가 한국 영공 침범에 깊은 유감을 표명하며 이번 일에 대한 조사에 착수하겠다고 밝힌 사실을 전했습니다.
러시아 차석 무관이 어제 오후 우리 국방부 정책기획관을 직접 만나 이렇게 전해왔다는 건데요.
"기기 오작동으로 계획되지 않은 지역에 진입한 것으로 생각한다. 최초에 계획된 경로였다면 이런 상황이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러시아가 밝혔다는 게 윤 수석의 설명입니다.
일단 청와대가 브리핑을 한 뒤 러시아가 다른 내용의 전문을 국방부에 접수한 것으로 보이는데요.
정확한 사정은 확인이 되는 대로 전해드리겠습니다.
[앵커]
러시아의 영공 침범 과정에서 일본 정부가 독도를 일본 땅이라는 억지를 부린 데 대해서도 반박 입장을 냈다고요?
[기자]
네, 그렇습니다.
"일본은 일본방공식별구역에 대한 부분만 갖고 입장을 내면 될 것 같다" 이게 청와대의 반응입니다.
청와대 관계자는 "우리 영공에 대한 문제는 우리가 답할 부분"이라며 이같이 밝혔는데요.
국방부도 오늘 입장 자료를 통해 "일본 측의 주장은 일고의 가치도 없으며, 독도는 역사적·지리적·국제법적으로 명백한 대한민국 영토"라고 말했습니다.
또 "독도에 대한 어떠한 외부의 침범에 대해서도 단호하고 엄중하게 대응해 나갈 것임을 분명히 밝힌다"고 덧붙였습니다.
한편 청와대는 어제 국가안전보장회의, 즉 NSC가 소집되지 않았다는 야당의 지적에 대해서도 "실효성 있는 조치가 중요하지 NSC를 여느냐 마느냐는 중요한 것 같지 않다"고 반박했습니다.
지금까지 연합뉴스TV 정다예입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