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센터] 중국, 보복 관세 부과.…2차 미·중 관세전쟁 시작?
<출연 : 김광석 한양대 겸임교수>
미국의 추가 관세 부과에 중국이 예고한 대로 '맞불' 대응을 시작했습니다.
트럼프 미 대통령은 다수 국가를 겨냥한 '상호관세' 카드도 꺼내들었는데요.
우리나라도 사정권에 들어갈 수 있어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관련 내용, 김광석 한양대학교 겸임교수와 함께 짚어보겠습니다.
<질문 1> 트럼프 행정부가 지난 4일부터 모든 중국산 수입품에 10% 추가 관세를 물리기 시작했는데요. 이에 대해 중국도 보복관세 시행에 나섰습니다. 구체적으로 어떤 조치가 이뤄졌나요?
<질문 2>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의 관세 대응 예고에 괜찮다고 말하면서 신중한 대응을 보이고 있습니다. 시진핑 주석과의 전화 통화도 서두르지 않겠다고 밝혔는데 어떤 이유 때문일까요?
<질문 3> 이런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대한 25%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습니다. 왜 철강과 알루미늄인가요?
<질문 4> 미국과 무역에서 우리나라의 반도체와 자동차, 철강 등이 주요 수출품으로 자리 잡고 있는 상황인데요. 높은 관세가 매겨진다면 가격 경쟁력이 약화되는 것 아닌가요? 그만큼 수출에도 타격이 클 것 같은데 괜찮을까요?
<질문 5> 이뿐만이 아닙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주 초 상대국의 관세율에 동등한 관세를 매기는 상호관세 부과를 발표하겠다고 했는데 정확히 '상호관세'란 무엇인가요?
<질문 6> 지난해 한국의 대미 무역 흑자액은 81조원 규모로 미국 입장에서 한국은 무역적자국 8위 수준이었는데 사정권에 들어갈 수 있을까요? 만약 현실화 될 경우 예상되는 피해 규모는 어떻습니까?
<질문 7> 미중 양국의 무역전쟁이 제한적 수준이라는 점에서 대화의 여지가 남아있다다는 기대감도 있는데 미국과 중국, 두 나라가 협상할 가능성은 어떻습니까? 트럼프 대통령 1기 때에도 두 나라 결국 합의로 분쟁을 끝냈지 않나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출연 : 김광석 한양대 겸임교수>
미국의 추가 관세 부과에 중국이 예고한 대로 '맞불' 대응을 시작했습니다.
트럼프 미 대통령은 다수 국가를 겨냥한 '상호관세' 카드도 꺼내들었는데요.
우리나라도 사정권에 들어갈 수 있어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관련 내용, 김광석 한양대학교 겸임교수와 함께 짚어보겠습니다.
<질문 1> 트럼프 행정부가 지난 4일부터 모든 중국산 수입품에 10% 추가 관세를 물리기 시작했는데요. 이에 대해 중국도 보복관세 시행에 나섰습니다. 구체적으로 어떤 조치가 이뤄졌나요?
<질문 2>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의 관세 대응 예고에 괜찮다고 말하면서 신중한 대응을 보이고 있습니다. 시진핑 주석과의 전화 통화도 서두르지 않겠다고 밝혔는데 어떤 이유 때문일까요?
<질문 3> 이런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대한 25%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습니다. 왜 철강과 알루미늄인가요?
<질문 4> 미국과 무역에서 우리나라의 반도체와 자동차, 철강 등이 주요 수출품으로 자리 잡고 있는 상황인데요. 높은 관세가 매겨진다면 가격 경쟁력이 약화되는 것 아닌가요? 그만큼 수출에도 타격이 클 것 같은데 괜찮을까요?
<질문 5> 이뿐만이 아닙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주 초 상대국의 관세율에 동등한 관세를 매기는 상호관세 부과를 발표하겠다고 했는데 정확히 '상호관세'란 무엇인가요?
<질문 6> 지난해 한국의 대미 무역 흑자액은 81조원 규모로 미국 입장에서 한국은 무역적자국 8위 수준이었는데 사정권에 들어갈 수 있을까요? 만약 현실화 될 경우 예상되는 피해 규모는 어떻습니까?
<질문 7> 미중 양국의 무역전쟁이 제한적 수준이라는 점에서 대화의 여지가 남아있다다는 기대감도 있는데 미국과 중국, 두 나라가 협상할 가능성은 어떻습니까? 트럼프 대통령 1기 때에도 두 나라 결국 합의로 분쟁을 끝냈지 않나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ADVERTISEMENT
이 기사 어떠셨나요?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