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폴폴] 여론조사로 풀어 보는 정치…민심 향방은?
<출연 : 엄경영 시대정신연구소장>
매주 월요일,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민심과 여론 추이를 샅샅이 훑어보는 시간, '이슈 폴폴' 입니다.
엄경영 시대정신연구소장 자리하셨습니다.
<질문 1> 한국갤럽이 지난 15일 발표한 조사 결과를 보면, 윤석열 대통령의 국정 수행에 대한 긍정 평가는 36%로 일주일 사이에 3%p 떨어졌고 부정 평가는 57%로 3%p가 높아졌습니다. 이번엔 리얼미터가 오늘 발표한 여론조사 결과 보겠습니다. 윤석열 대통령 지지율이 30%대로 내려왔습니다. 윤 대통령 지지율은 지난 2월 3주 차 조사에서 39.5%를 기록한 뒤 41.9%→41.1%→40.2%로 3주 연속 40%대를 기록했는데요. 이번 조사에서 가장 큰 하락 원인 무엇 때문이라고 보시나요?
<질문 2> 정당지지도 살펴보겠습니다. 지난 15일 공개된 한국갤럽 여론조사 결과를 보면, 국민의힘 정당 지지도는 37%, 더불어민주당 32%로 나타났는데요. 최근 더불어민주당 지지도 변동은 조국혁신당 등장에 영향을 받았다는 해석이 나옵니다. 사실상 민주당 지지층 감소가 아니라 분화로 보는 시각도 있는데요?
<질문 3> 지난 14~15일 진행된 리얼미터 정당 지지도 조사에서는 국민의힘 37.9%, 더불어민주당 40.8%로 나타났습니다. 지난 조사와 비교해 보면 국민의힘과 민주당 각각 4.0%p, 2.3%p씩 내려갔는데요. 총선을 20여일 앞두고 양당 지지도가 나란히 하락한 배경, 무엇 때문이라고 보시는지요?
<질문 4> 총선이 20여일 앞으로 다가온 만큼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정당 지지도, 특히 서울 지역 지지도 차이를 보겠습니다. 먼저 한국갤럽 조사에서 민주당 지지율은 국민의힘과 10% 이상 차이를 보이다 오차범위 내로 좁혀진 모습 확인할 수 있고요. 리얼미터 조사에서는 양당 모두 떨어지면서 30%대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정당 지지율로 본 서울지역 민심, 어떻게 분석할 수 있을까요?
<질문 5> 한국갤럽 조사에서 다가온 총선과 관련해 선거 결과에 대한 기대를 물었습니다. '현 정부를 지원하기 위해 여당 후보가 많이 당선돼야 한다'는 답이 40%, '현 정부를 견제하기 위해 야당 후보가 많이 당선돼야 한다' 49%로 나타났고요. 11%는 의견을 유보했는데요. 여야 정당 지지율과 비교해보면 어떤 차이가 있습니까?
<질문 6> 총선 기대 여론조사를 연령별로 살펴보면 60대 이상에서는 '여당 승리', 50대 이하에서는 '야당 승리'가 우세한데요. 이것은 대부분의 조사에서 꾸준한 흐름이죠?
<질문 7> 오늘 발표된 리얼미터 여론조사 결과를 보면, 총선 비례대표 정당 투표에서 조국혁신당을 뽑겠다는 응답이 26.8%를 기록했습니다. 더불어민주당 비례정당인 더불어민주연합 보다 높은 수치인데요? 또 조국혁신당과 더불어민주연합 지지율을 더하면 44.8%로 국민의미래보다 높습니다?
<질문 8> 격전지 여론조사도 살펴보겠습니다. 서울 중·성동갑의 경우 윤희숙 국민의힘 후보와 전현희 민주당 후보 모두 39%로 나타났습니다. 중-성동갑은 20, 21대 총선에서 민주당 홍익표 원내대표가 연이어 당선된 지역인데요. 서울의 스윙보터로 꼽히는 지역이죠?
<질문 9> '양문석 논란'을 놓고 친문·친노계와 친명계에서는 양 후보에 대한 공천 취소를 요구하며 반발이 거센 상황이지만 양 후보는 '버티기'에 들어간 상황입니다. 유시민 전 노무현재단 이사장이 한 인터뷰에서 논란 확산 차단을 시도하기도 했는데요. 후보의 봉하마을 사죄 등으로 사태가 봉합될 수 있을까요?
<질문 10> 양문석 후보의 과거 '노무현 전 대통령 비하 발언'을 두고 당내 갈등이 재점화한 상황인데요. 공천 심사 과정에부터 문제가 있었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공관위 산하 '도덕성 검증소위'가 심사 과정에서 양문석 후보에게 도덕성 점수로 0점을 줬는데 공관위가 이를 무시하고 양 후보의 경선 참여를 밀여 붙였다는 주장인데요. '양문석 논란'이 더 확산하지 않을까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출연 : 엄경영 시대정신연구소장>
매주 월요일,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민심과 여론 추이를 샅샅이 훑어보는 시간, '이슈 폴폴' 입니다.
엄경영 시대정신연구소장 자리하셨습니다.
<질문 1> 한국갤럽이 지난 15일 발표한 조사 결과를 보면, 윤석열 대통령의 국정 수행에 대한 긍정 평가는 36%로 일주일 사이에 3%p 떨어졌고 부정 평가는 57%로 3%p가 높아졌습니다. 이번엔 리얼미터가 오늘 발표한 여론조사 결과 보겠습니다. 윤석열 대통령 지지율이 30%대로 내려왔습니다. 윤 대통령 지지율은 지난 2월 3주 차 조사에서 39.5%를 기록한 뒤 41.9%→41.1%→40.2%로 3주 연속 40%대를 기록했는데요. 이번 조사에서 가장 큰 하락 원인 무엇 때문이라고 보시나요?
<질문 2> 정당지지도 살펴보겠습니다. 지난 15일 공개된 한국갤럽 여론조사 결과를 보면, 국민의힘 정당 지지도는 37%, 더불어민주당 32%로 나타났는데요. 최근 더불어민주당 지지도 변동은 조국혁신당 등장에 영향을 받았다는 해석이 나옵니다. 사실상 민주당 지지층 감소가 아니라 분화로 보는 시각도 있는데요?
<질문 3> 지난 14~15일 진행된 리얼미터 정당 지지도 조사에서는 국민의힘 37.9%, 더불어민주당 40.8%로 나타났습니다. 지난 조사와 비교해 보면 국민의힘과 민주당 각각 4.0%p, 2.3%p씩 내려갔는데요. 총선을 20여일 앞두고 양당 지지도가 나란히 하락한 배경, 무엇 때문이라고 보시는지요?
<질문 4> 총선이 20여일 앞으로 다가온 만큼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정당 지지도, 특히 서울 지역 지지도 차이를 보겠습니다. 먼저 한국갤럽 조사에서 민주당 지지율은 국민의힘과 10% 이상 차이를 보이다 오차범위 내로 좁혀진 모습 확인할 수 있고요. 리얼미터 조사에서는 양당 모두 떨어지면서 30%대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정당 지지율로 본 서울지역 민심, 어떻게 분석할 수 있을까요?
<질문 5> 한국갤럽 조사에서 다가온 총선과 관련해 선거 결과에 대한 기대를 물었습니다. '현 정부를 지원하기 위해 여당 후보가 많이 당선돼야 한다'는 답이 40%, '현 정부를 견제하기 위해 야당 후보가 많이 당선돼야 한다' 49%로 나타났고요. 11%는 의견을 유보했는데요. 여야 정당 지지율과 비교해보면 어떤 차이가 있습니까?
<질문 6> 총선 기대 여론조사를 연령별로 살펴보면 60대 이상에서는 '여당 승리', 50대 이하에서는 '야당 승리'가 우세한데요. 이것은 대부분의 조사에서 꾸준한 흐름이죠?
<질문 7> 오늘 발표된 리얼미터 여론조사 결과를 보면, 총선 비례대표 정당 투표에서 조국혁신당을 뽑겠다는 응답이 26.8%를 기록했습니다. 더불어민주당 비례정당인 더불어민주연합 보다 높은 수치인데요? 또 조국혁신당과 더불어민주연합 지지율을 더하면 44.8%로 국민의미래보다 높습니다?
<질문 8> 격전지 여론조사도 살펴보겠습니다. 서울 중·성동갑의 경우 윤희숙 국민의힘 후보와 전현희 민주당 후보 모두 39%로 나타났습니다. 중-성동갑은 20, 21대 총선에서 민주당 홍익표 원내대표가 연이어 당선된 지역인데요. 서울의 스윙보터로 꼽히는 지역이죠?
<질문 9> '양문석 논란'을 놓고 친문·친노계와 친명계에서는 양 후보에 대한 공천 취소를 요구하며 반발이 거센 상황이지만 양 후보는 '버티기'에 들어간 상황입니다. 유시민 전 노무현재단 이사장이 한 인터뷰에서 논란 확산 차단을 시도하기도 했는데요. 후보의 봉하마을 사죄 등으로 사태가 봉합될 수 있을까요?
<질문 10> 양문석 후보의 과거 '노무현 전 대통령 비하 발언'을 두고 당내 갈등이 재점화한 상황인데요. 공천 심사 과정에부터 문제가 있었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공관위 산하 '도덕성 검증소위'가 심사 과정에서 양문석 후보에게 도덕성 점수로 0점을 줬는데 공관위가 이를 무시하고 양 후보의 경선 참여를 밀여 붙였다는 주장인데요. '양문석 논란'이 더 확산하지 않을까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ADVERTISEMENT
이 기사 어떠셨나요?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