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위비 공개언급 피한 에스퍼 "北과 외교적 접촉 의지"
[앵커]
마크 에스퍼 미국 국방장관이 오늘 국방부 청사에서 정경두 장관과 한미 국방장관회담을 가졌습니다.
자세한 내용 취재기자 연결해 들어보겠습니다.
정다예 기자.
[기자]
네. 국방부에 나와 있습니다.
마크 에스퍼 미 국방장관이 오늘 국방부 청사에서 정경두 국방장관과 한미 국방장관 회담을 가졌습니다.
이번 회담에서 한미 동맹의 주요 현안이 논의됐습니다.
국방부는 "한미 국방장관이 한반도의 안보상황에 대해 평가하고 인식을 공유했다"며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평화 정착을 위한 외교적 노력을 뒷받침한다는 공약을 재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양 장관은 또 "전시작전권 전환을 위한 조건 검증 노력에 상당한 진전이 있었다"며 "전작권 전환은 한미동맹 강화와 한반도 평화안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고 국방부는 전했습니다.
에스퍼 장관은 한미 국방장관 회담 이후 청와대로 이동해 정의용 국가안보실장과 면담을 진행했고요.
마지막 일정으로 문재인 대통령을 예방한 뒤 1박 2일간의 방한일정을 사실상 마무리했습니다.
[앵커]
한미 국방장관 회담이 2시간 정도 꽤 길게 진행됐는데요.
좀 더 자세한 내용 짚어주시죠.
[기자]
네. 이번 회담을 오찬을 겸해 약 2시간에 걸쳐 진행됐습니다.
국방부의 회담 결과 발표에는 구체적인 논의 내용이 담기지는 않았는데요.
자세한 내용은 향후 추가 브리핑 등을 통해 확인이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회담에 들어가기 전 모두발언에서는 우려했던 것과 달리 방위비 인상에 대한 언급을 하지 않았습니다.
일단 에스퍼 장관의 모두 발언에선 북한에 대한 대화 의지를 공개적으로 밝힌 부분이 관심을 끌었습니다.
에스퍼 장관은 "북한의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되돌릴 수 없는 비핵화, CVID를 위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제재를 단호히 집행해나가겠다"면서도 "싱가포르 성명의 진전을 위해 북한과 외교적 접촉에 나설 의지가 있다"며 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에스퍼 장관은 "미국의 최우선 전략 지역은 인도-태평양"이라며 "이 지역에서의 비전을 한미 양국이 공유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정경두 장관은 "한반도 지역의 안보 상황이 매우 긴박하다"고 평가하면서, 북한의 잇단 단거리 탄도 미사일 발사, 동해상에서 이뤄진 중국과 러시아의 연합훈련, 러시아 군용기의 독도 영공 침범 등을 사례로 들었습니다.
특히 일본의 경제보복이 한미일 안보협력에 악영향을 초래하고 있다고 지적했는데요.
에스퍼 장관과의 회담에서 한일 갈등과 관련한 논의가 이뤄졌을 가능성이 커 보인다는 분석입니다.
[앵커]
지소미아 문제도 다뤄졌을 가능성이 높겠군요?
[기자]
네, 그렇습니다.
정 장관이 일본의 경제보복 문제를 명시적으로 지적한 만큼, 회담에서는 한미일 3각 안보공조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을 것으로 보입니다.
한미, 미일 동맹을 잇는 코드인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 지소미아 문제도 논의 대상에 올랐을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우리 정부는 일본의 경제보복에 맞불카드로 지소미아 폐기를 검토해왔습니다.
미국이 지소미아를 매개로 한일 갈등 중재에 본격적으로 나서겠다는 의지를 밝혔을 수도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한국이 더 많은 돈을 내야 한다는 내용의 트윗을 게시하며 우리 정부에 방위비 인상을 압박한 만큼, 모두발언에서는 직접 언급되지 않았더라도, 실제 회담에서 방위비 분담금 인상 문제가 다뤄졌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이란 호르무즈 해협 파병 문제나 미국이 추진하는 중거리 미사일 배치 논의도 회담 테이블에 올랐을 것이란 관측이 나옵니다.
지금까지 국방부에서 연합뉴스TV 정다예입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연합뉴스 긴급속보를 SMS로! SKT 사용자는 무료 체험!>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앵커]
마크 에스퍼 미국 국방장관이 오늘 국방부 청사에서 정경두 장관과 한미 국방장관회담을 가졌습니다.
자세한 내용 취재기자 연결해 들어보겠습니다.
정다예 기자.
[기자]
네. 국방부에 나와 있습니다.
마크 에스퍼 미 국방장관이 오늘 국방부 청사에서 정경두 국방장관과 한미 국방장관 회담을 가졌습니다.
이번 회담에서 한미 동맹의 주요 현안이 논의됐습니다.
국방부는 "한미 국방장관이 한반도의 안보상황에 대해 평가하고 인식을 공유했다"며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평화 정착을 위한 외교적 노력을 뒷받침한다는 공약을 재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양 장관은 또 "전시작전권 전환을 위한 조건 검증 노력에 상당한 진전이 있었다"며 "전작권 전환은 한미동맹 강화와 한반도 평화안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고 국방부는 전했습니다.
에스퍼 장관은 한미 국방장관 회담 이후 청와대로 이동해 정의용 국가안보실장과 면담을 진행했고요.
마지막 일정으로 문재인 대통령을 예방한 뒤 1박 2일간의 방한일정을 사실상 마무리했습니다.
[앵커]
한미 국방장관 회담이 2시간 정도 꽤 길게 진행됐는데요.
좀 더 자세한 내용 짚어주시죠.
[기자]
네. 이번 회담을 오찬을 겸해 약 2시간에 걸쳐 진행됐습니다.
국방부의 회담 결과 발표에는 구체적인 논의 내용이 담기지는 않았는데요.
자세한 내용은 향후 추가 브리핑 등을 통해 확인이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회담에 들어가기 전 모두발언에서는 우려했던 것과 달리 방위비 인상에 대한 언급을 하지 않았습니다.
일단 에스퍼 장관의 모두 발언에선 북한에 대한 대화 의지를 공개적으로 밝힌 부분이 관심을 끌었습니다.
에스퍼 장관은 "북한의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되돌릴 수 없는 비핵화, CVID를 위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제재를 단호히 집행해나가겠다"면서도 "싱가포르 성명의 진전을 위해 북한과 외교적 접촉에 나설 의지가 있다"며 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에스퍼 장관은 "미국의 최우선 전략 지역은 인도-태평양"이라며 "이 지역에서의 비전을 한미 양국이 공유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정경두 장관은 "한반도 지역의 안보 상황이 매우 긴박하다"고 평가하면서, 북한의 잇단 단거리 탄도 미사일 발사, 동해상에서 이뤄진 중국과 러시아의 연합훈련, 러시아 군용기의 독도 영공 침범 등을 사례로 들었습니다.
특히 일본의 경제보복이 한미일 안보협력에 악영향을 초래하고 있다고 지적했는데요.
에스퍼 장관과의 회담에서 한일 갈등과 관련한 논의가 이뤄졌을 가능성이 커 보인다는 분석입니다.
[앵커]
지소미아 문제도 다뤄졌을 가능성이 높겠군요?
[기자]
네, 그렇습니다.
정 장관이 일본의 경제보복 문제를 명시적으로 지적한 만큼, 회담에서는 한미일 3각 안보공조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을 것으로 보입니다.
한미, 미일 동맹을 잇는 코드인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 지소미아 문제도 논의 대상에 올랐을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우리 정부는 일본의 경제보복에 맞불카드로 지소미아 폐기를 검토해왔습니다.
미국이 지소미아를 매개로 한일 갈등 중재에 본격적으로 나서겠다는 의지를 밝혔을 수도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한국이 더 많은 돈을 내야 한다는 내용의 트윗을 게시하며 우리 정부에 방위비 인상을 압박한 만큼, 모두발언에서는 직접 언급되지 않았더라도, 실제 회담에서 방위비 분담금 인상 문제가 다뤄졌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이란 호르무즈 해협 파병 문제나 미국이 추진하는 중거리 미사일 배치 논의도 회담 테이블에 올랐을 것이란 관측이 나옵니다.
지금까지 국방부에서 연합뉴스TV 정다예입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연합뉴스 긴급속보를 SMS로! SKT 사용자는 무료 체험!>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ADVERTISEMENT
이 기사 어떠셨나요?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