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사전 협의"…징용 피해자들 "협의 없었다"
[앵커]
정부는 대법원의 지난해 강제징용 배상판결과 관련해 한일 기업이 공동으로 기금을 조성하는 안을 내놓은 바 있는데요.
이 안의 협의 과정을 놓고 정부와 피해자 간 의견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김수강 기자입니다.
[기자]
최근 한일 갈등의 출발점이 된 지난해 10월 대법원의 강제징용 배상 판결.
이후 정부는 8개월 만인 지난 6월, 한국과 일본 기업이 참여하는 기금을 조성해 피해자들에게 보상하자는 내용의 제안을 일본에 전달했습니다.
시민단체들은 정부가 피해 당사자들 의견을 반영하지 않았다고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고, 일본 역시 제안을 거부해 어디서도 환영받지 못한 해법이란 지적이 나왔습니다.
하지만 국회 운영위원회에 출석한 노영민 청와대 비서실장은 당시 사전에 피해자들과 합의가 있었다고 밝혔습니다.
<노영민 / 청와대 비서실장> "작년 대법원판결 이후로 거의 6~8개월간 저희들이 가장 심혈 기울인 부분이 바로 피해자들을 설득하는 것…저희들은 피해자들과 합의해도 될 수준의, 발표해도 될 수준의 합의가 있었다고 판단했습니다."
이에 피해자 측은 반발했습니다.
피해자들을 대리하는 최봉태 변호사는 "한 차례 접촉은 있었지만 충분한 협의는 없었다"며 한일 기업의 공동기금 조성안, 이른바 '1+1' 안에 동의한 적도 없다고 반박했습니다.
또 해결안 논의를 위해서는 공식적으로 피해자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자리가 마련돼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연합뉴스TV 김수강입니다. (kimsookang@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연합뉴스 긴급속보를 SMS로! SKT 사용자는 무료 체험!>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앵커]
정부는 대법원의 지난해 강제징용 배상판결과 관련해 한일 기업이 공동으로 기금을 조성하는 안을 내놓은 바 있는데요.
이 안의 협의 과정을 놓고 정부와 피해자 간 의견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김수강 기자입니다.
[기자]
최근 한일 갈등의 출발점이 된 지난해 10월 대법원의 강제징용 배상 판결.
이후 정부는 8개월 만인 지난 6월, 한국과 일본 기업이 참여하는 기금을 조성해 피해자들에게 보상하자는 내용의 제안을 일본에 전달했습니다.
시민단체들은 정부가 피해 당사자들 의견을 반영하지 않았다고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고, 일본 역시 제안을 거부해 어디서도 환영받지 못한 해법이란 지적이 나왔습니다.
하지만 국회 운영위원회에 출석한 노영민 청와대 비서실장은 당시 사전에 피해자들과 합의가 있었다고 밝혔습니다.
<노영민 / 청와대 비서실장> "작년 대법원판결 이후로 거의 6~8개월간 저희들이 가장 심혈 기울인 부분이 바로 피해자들을 설득하는 것…저희들은 피해자들과 합의해도 될 수준의, 발표해도 될 수준의 합의가 있었다고 판단했습니다."
이에 피해자 측은 반발했습니다.
피해자들을 대리하는 최봉태 변호사는 "한 차례 접촉은 있었지만 충분한 협의는 없었다"며 한일 기업의 공동기금 조성안, 이른바 '1+1' 안에 동의한 적도 없다고 반박했습니다.
또 해결안 논의를 위해서는 공식적으로 피해자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자리가 마련돼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연합뉴스TV 김수강입니다. (kimsookang@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연합뉴스 긴급속보를 SMS로! SKT 사용자는 무료 체험!>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