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번지] 日, '韓 백색국가 제외' 관보 게재…한국 대응은?
<출연 : 김상일 전 민주당 부대변인·이경수 전 새누리당 부대변인>
일본이 우리나라를 백색국가에서 빼는 내용의 개정안을 공포했습니다.
일본 아베 총리의 억지 주장이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최측근들의 망언도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장기화되는 한일 갈등의 해법이 절실한 상황에서 우리의 대응까지 짚어보겠습니다.
김상일 전 민주당 부대변인, 이경수 전 새누리당 부대변인과 짚어봅니다.
<질문 1> 예상대로 오늘 일본이 한국을 백색국가에서 제외되는 개정안을 관보에 게재했습니다. 이렇게 공식화되면 결국 이달 말인 28일에 실제 시행만이 남은 셈인가요?
<질문 2> 이런 가운데 아베 총리는요. 어제도 '한국이 청구권 협정을 위반했다'는 주장을 반복하며 사태의 책임을 우리 정부로 떠넘겼는데요. 아베 총리의 모순된 주장이 오히려 향후 여론전에서 불리할 것이란 해석도 나옵니다. 두 분은 어떻게 평가하고 계십니까?
<질문 3> 조세영 외교부 제1차관이 곧장 반박에 나섰습니다. 결국은 경제보복을 증명한 발언이라며 실명으로 공식 입장문까지 냈는데요. 부처 차관이 상대국 총리의 발언을 반박하는 것은 이례적인데 여기에 담긴 의미 어떻게 해석하십니까?
<질문 3-1> 일본의 잘못된 주장이나 망언이 많다보니 과거에는 일일이 대응하지 않았는데, 경제 보복 조치 이후에는 정부의 대응 기조도 달라진 것 같아요. 특히 일본 외무성에서 한국여행 주의 당부가 나오자 여당도 외교부도 이런 방안을 검토중이거든요?
<질문 4> 여기에 참 입에 담기도 힘든 막말이 또 나왔습니다. 아베 총리의 최측근인 보좌관인 에토 세이이치가 "한국은 과거 매춘 관광국"이었다고 발언했는데요. 그 자리가, 갈등 해법을 찾아보려고 일본을 찾은 우리 국회의원들 앞이라고 합니다. 꼭 이래야 했을까요?
<질문 4-1> 이뿐 아니라 "강제징용과 위안부 문제의 불법 정황을 못찾았다"는 발언까지 내놨다는데요. 자리에 있던 김부겸 의원이 곧장 지적하고, 일본 측 만찬 주최자도 유감을 표명했다지만요. 아베 총리 최측근들의 왜곡된 역사인식이 너무하다는 생각도 들어요?
<질문 5> 정치권 일각에서는 우리 정부가 맞대응을 하기보다는요. 직접 아베 총리를 만나 문제를 풀어야하고, 외교적 해법을 찾아야한다고 주문합니다. 하지만 대화에 응하지 않는 아베 총리와 막말하는 측근들을 보면요. 대화로 해법이 찾아질지 의문이 드는데요?
<질문 6> 이럴 때일수록 우리의 계획적이고 침착한 대응이 필요한데요. 하지만 서울 중구청이 '노 재팬' 이라는 깃발을 걸었다가 비난 여론에 하루도 안 돼 철거하는 일이 발생했습니다. 이 과정을 어떻게 보셨습니까?
<질문 6-1> 이런 가운데 일본불매운동에 참여하는 지자체는 이번 주 들어 150여 곳으로 확대됐는데요. 국민들이 스스로 일본여행과 제품등을 불매운동하는 것과 달리 지자체가 앞장서는 것은 역효과가 더 크다는 지적이 나오는데요?
<질문 7> 나경원 대표의 유승민 의원을 향한 공개 러브콜에 손학규 대표와, 당사자인 유승민 의원의 목소리까지 듣고 왔습니다. 우선, 유승민 의원의 정치적 입지가 보수통합에 가지는 의미는 뭐라고 보십니까?
<질문 8> 나 원내대표는 "유 의원과 통합 안하면 한국당에 미래가 없다"고 밝히면서요. 보수통합 대상에 안철수 전 대표 등도 "열려있다"고 하는데요. 한국당이 그리는 보수통합의 밑그림 어떻게 보고 계세요?
<질문 9> 유승민 의원 측의 바른정당계와 갈등을 겪고 있는 손학규 대표는요. 유 의원을 향해 솔직해져라, 이렇게 말했는데요. 하지만 한국당으로 돌아가기에는 정리할 사안도 많고, 정치적 명분이 필요한데요. 유승민 의원의 현재 최대고민은 뭘까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연합뉴스 긴급속보를 SMS로! SKT 사용자는 무료 체험!>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출연 : 김상일 전 민주당 부대변인·이경수 전 새누리당 부대변인>
일본이 우리나라를 백색국가에서 빼는 내용의 개정안을 공포했습니다.
일본 아베 총리의 억지 주장이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최측근들의 망언도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장기화되는 한일 갈등의 해법이 절실한 상황에서 우리의 대응까지 짚어보겠습니다.
김상일 전 민주당 부대변인, 이경수 전 새누리당 부대변인과 짚어봅니다.
<질문 1> 예상대로 오늘 일본이 한국을 백색국가에서 제외되는 개정안을 관보에 게재했습니다. 이렇게 공식화되면 결국 이달 말인 28일에 실제 시행만이 남은 셈인가요?
<질문 2> 이런 가운데 아베 총리는요. 어제도 '한국이 청구권 협정을 위반했다'는 주장을 반복하며 사태의 책임을 우리 정부로 떠넘겼는데요. 아베 총리의 모순된 주장이 오히려 향후 여론전에서 불리할 것이란 해석도 나옵니다. 두 분은 어떻게 평가하고 계십니까?
<질문 3> 조세영 외교부 제1차관이 곧장 반박에 나섰습니다. 결국은 경제보복을 증명한 발언이라며 실명으로 공식 입장문까지 냈는데요. 부처 차관이 상대국 총리의 발언을 반박하는 것은 이례적인데 여기에 담긴 의미 어떻게 해석하십니까?
<질문 3-1> 일본의 잘못된 주장이나 망언이 많다보니 과거에는 일일이 대응하지 않았는데, 경제 보복 조치 이후에는 정부의 대응 기조도 달라진 것 같아요. 특히 일본 외무성에서 한국여행 주의 당부가 나오자 여당도 외교부도 이런 방안을 검토중이거든요?
<질문 4> 여기에 참 입에 담기도 힘든 막말이 또 나왔습니다. 아베 총리의 최측근인 보좌관인 에토 세이이치가 "한국은 과거 매춘 관광국"이었다고 발언했는데요. 그 자리가, 갈등 해법을 찾아보려고 일본을 찾은 우리 국회의원들 앞이라고 합니다. 꼭 이래야 했을까요?
<질문 4-1> 이뿐 아니라 "강제징용과 위안부 문제의 불법 정황을 못찾았다"는 발언까지 내놨다는데요. 자리에 있던 김부겸 의원이 곧장 지적하고, 일본 측 만찬 주최자도 유감을 표명했다지만요. 아베 총리 최측근들의 왜곡된 역사인식이 너무하다는 생각도 들어요?
<질문 5> 정치권 일각에서는 우리 정부가 맞대응을 하기보다는요. 직접 아베 총리를 만나 문제를 풀어야하고, 외교적 해법을 찾아야한다고 주문합니다. 하지만 대화에 응하지 않는 아베 총리와 막말하는 측근들을 보면요. 대화로 해법이 찾아질지 의문이 드는데요?
<질문 6> 이럴 때일수록 우리의 계획적이고 침착한 대응이 필요한데요. 하지만 서울 중구청이 '노 재팬' 이라는 깃발을 걸었다가 비난 여론에 하루도 안 돼 철거하는 일이 발생했습니다. 이 과정을 어떻게 보셨습니까?
<질문 6-1> 이런 가운데 일본불매운동에 참여하는 지자체는 이번 주 들어 150여 곳으로 확대됐는데요. 국민들이 스스로 일본여행과 제품등을 불매운동하는 것과 달리 지자체가 앞장서는 것은 역효과가 더 크다는 지적이 나오는데요?
<질문 7> 나경원 대표의 유승민 의원을 향한 공개 러브콜에 손학규 대표와, 당사자인 유승민 의원의 목소리까지 듣고 왔습니다. 우선, 유승민 의원의 정치적 입지가 보수통합에 가지는 의미는 뭐라고 보십니까?
<질문 8> 나 원내대표는 "유 의원과 통합 안하면 한국당에 미래가 없다"고 밝히면서요. 보수통합 대상에 안철수 전 대표 등도 "열려있다"고 하는데요. 한국당이 그리는 보수통합의 밑그림 어떻게 보고 계세요?
<질문 9> 유승민 의원 측의 바른정당계와 갈등을 겪고 있는 손학규 대표는요. 유 의원을 향해 솔직해져라, 이렇게 말했는데요. 하지만 한국당으로 돌아가기에는 정리할 사안도 많고, 정치적 명분이 필요한데요. 유승민 의원의 현재 최대고민은 뭘까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연합뉴스 긴급속보를 SMS로! SKT 사용자는 무료 체험!>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