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환율에서 안보까지…'미중 전쟁' 전방위로 확대
[앵커]
미·중 무역전쟁이 환율전쟁으로 비화하는 것은 물론 안보 전쟁으로도 옮겨붙고 있습니다.
미국의 중거리 미사일 배치 문제를 놓고 양측간 갈등이 격화되고 있는 모습입니다.
김지수 기자입니다.
[기자]
미국이 중거리핵전력 조약 INF 파기를 계기로 한국 등 아시아에 중거리 미사일을 배치하겠다고 하자 중국이 반발하는 등 미·중 갈등이 안보분야로도 확대되고 있습니다.
존 볼턴 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중국은 이미 수천개 미사일을 배치해놨다"며 "그들은 INF 조약의 일원이 아니어서 자유롭게 원하는 것을 할 수 있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군사력을 증강하고 위협을 가한 것은 중국"이라면서 "그것은 더 큰 논쟁의 일부분"이라며 한국과 일본 등 동맹국 방어를 언급했습니다.
중국이 미국의 아시아 내 중거리 미사일 배치가 현실화할 경우 대응 조치에 나서겠다고 반발한 가운데서도 중국의 위협을 이유로 미사일 배치 추진의 정당성을 주장하고 나선 것입니다.
앞서 푸총 중국 외교부 군축사 사장은 "미국의 미사일 배치를 허용하지 말 것을 촉구한다"며 "중국은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중국 관영 환구시보도 한국과 일본을 지목하며 "미국의 총알받이가 되지 말라"면서 사드 사태보다 심각한 영향이 있을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미국은 중국이 영유권을 주장하는 남중국해 해역에 항공모함을 보냈다고 AP통신이 보도했습니다.
연합뉴스 김지수입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연합뉴스 긴급속보를 SMS로! SKT 사용자는 무료 체험!>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앵커]
미·중 무역전쟁이 환율전쟁으로 비화하는 것은 물론 안보 전쟁으로도 옮겨붙고 있습니다.
미국의 중거리 미사일 배치 문제를 놓고 양측간 갈등이 격화되고 있는 모습입니다.
김지수 기자입니다.
[기자]
미국이 중거리핵전력 조약 INF 파기를 계기로 한국 등 아시아에 중거리 미사일을 배치하겠다고 하자 중국이 반발하는 등 미·중 갈등이 안보분야로도 확대되고 있습니다.
존 볼턴 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중국은 이미 수천개 미사일을 배치해놨다"며 "그들은 INF 조약의 일원이 아니어서 자유롭게 원하는 것을 할 수 있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군사력을 증강하고 위협을 가한 것은 중국"이라면서 "그것은 더 큰 논쟁의 일부분"이라며 한국과 일본 등 동맹국 방어를 언급했습니다.
중국이 미국의 아시아 내 중거리 미사일 배치가 현실화할 경우 대응 조치에 나서겠다고 반발한 가운데서도 중국의 위협을 이유로 미사일 배치 추진의 정당성을 주장하고 나선 것입니다.
앞서 푸총 중국 외교부 군축사 사장은 "미국의 미사일 배치를 허용하지 말 것을 촉구한다"며 "중국은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중국 관영 환구시보도 한국과 일본을 지목하며 "미국의 총알받이가 되지 말라"면서 사드 사태보다 심각한 영향이 있을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미국은 중국이 영유권을 주장하는 남중국해 해역에 항공모함을 보냈다고 AP통신이 보도했습니다.
연합뉴스 김지수입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연합뉴스 긴급속보를 SMS로! SKT 사용자는 무료 체험!>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ADVERTISEMENT
이 기사 어떠셨나요?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