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포커스] 여야, 문 대통령 '평화경제론' 공방
<출연 : 최민희 전 국회의원·이상휘 세명대 교수>
북한의 연이은 미사일 도발에 정부의 대북정책 방향을 놓고 여야가 뜨거운 공방을 펼치고 있습니다.
보수 야당은 문재인 대통령의 '평화경제' 구상도 비판하면서 외교·안보 정책 기조를 바꿀 것을 주장하는 반면 정부와 여당은 북한이 9·19 군사합의를 위반하지 않았다면서 대화기조를 이어가겠다는 방침입니다.
일본의 경제 보복에 여당은 연일 강경 발언과 제스처를 취하며 여론전에 열을 올리는 모습인데요.
야당은 의욕이 앞선다고 비판하고 있습니다.
주요 정국 현안들, 최민희 전 국회의원, 이상휘 세명대 교수와 함께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두 분, 어서 오세요.
<질문 1> 어제 북한이 또다시 단거리 미사일을 발사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이 평화경제 구상을 발표한 다음 날이라는 점에서 청와대의 고민이 깊으리라 여겨지는데요. 대화 기조를 유지하면서 강경 대응을 계속 자제해야 한다고 보시는지요?
<질문 1-1> 연이은 북한 도발에 정치권 반응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자유한국당은 군사합의 무효를 주장하면서 정부의 대북정책 전환을 촉구하고 있는데요. 평가해 주시죠?
<질문 2> 문재인 대통령의 평화경제론에 대해서도 여야는 공방을 이어갔는데요. 남북경협으로 평화경제를 이룬다면 일본을 바로 따라잡을 수 있다는 문 대통령의 구상에 대해 보수야당은 현실성 없다고 비판하고 나섰죠?
<질문 3> 어제 국회 운영위에서는 청와대 업무보고가 있었는데요. 일본 경제 보복 조치, 북한 단거리 미사일 발사 등의 쟁점을 놓고 격론이 펼쳐졌습니다. 북한 핵실험 횟수 등과 관련한 오답 논란도 있었는데요. 야당의 질의도 문제지만 청와대 참모들의 대응도 적절했는지를 두고 평가가 갈리는 모습입니다. 어떻게 보셨습니까?
<질문 4> 민주당은 안중근 의사의 '독립' 글귀가 담긴 배경막을 설치하는 등 극일 여론전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모습입니다. 반면 자유 한국은 '총선에 안보도 경제도 팔아먹은 민주당'이라는 배경막을 달았어요. 이번 일본의 경제보복을 대하는 양당의 태도와 해석이 극명하게 갈리죠.
<질문 5> 민주당 일본경제침략대책특별위원회는 방사성 물질 검출 등을 이유로 일본으로의 여행 규제 조치가 필요하다고 주장하는데요. 관련 내용을 정부 측에 전달했다고 합니다. 나아가 도쿄 올림픽 보이콧 여부도 논의하겠다는 입장인데요. 일각에선 스포츠 분야까지 넘어서지는 말자는 신중론도 제기되고 있죠?
<질문 6> 여야는 경제진단에 있어서도 온도차를 보였는데요. 환율이 급등하고 증시가 하락한 것과 관련해 한국당은 장기침체가 우려된다면서 IMF 사태 당시 교훈을 잊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한 반면 민주당은 위기감 조성을 자제해야 한다고 강조했는데요. 일각에선 제기된 제 2IMF 위기 논란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7> 서울 중구청이 '노 재팬' 배너 깃발을 게양했다가 하루도 안 돼 반발 여론에 철거하는 소동을 빚었는데요. 어떻게 보셨습니까?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연합뉴스 긴급속보를 SMS로! SKT 사용자는 무료 체험!>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출연 : 최민희 전 국회의원·이상휘 세명대 교수>
북한의 연이은 미사일 도발에 정부의 대북정책 방향을 놓고 여야가 뜨거운 공방을 펼치고 있습니다.
보수 야당은 문재인 대통령의 '평화경제' 구상도 비판하면서 외교·안보 정책 기조를 바꿀 것을 주장하는 반면 정부와 여당은 북한이 9·19 군사합의를 위반하지 않았다면서 대화기조를 이어가겠다는 방침입니다.
일본의 경제 보복에 여당은 연일 강경 발언과 제스처를 취하며 여론전에 열을 올리는 모습인데요.
야당은 의욕이 앞선다고 비판하고 있습니다.
주요 정국 현안들, 최민희 전 국회의원, 이상휘 세명대 교수와 함께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두 분, 어서 오세요.
<질문 1> 어제 북한이 또다시 단거리 미사일을 발사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이 평화경제 구상을 발표한 다음 날이라는 점에서 청와대의 고민이 깊으리라 여겨지는데요. 대화 기조를 유지하면서 강경 대응을 계속 자제해야 한다고 보시는지요?
<질문 1-1> 연이은 북한 도발에 정치권 반응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자유한국당은 군사합의 무효를 주장하면서 정부의 대북정책 전환을 촉구하고 있는데요. 평가해 주시죠?
<질문 2> 문재인 대통령의 평화경제론에 대해서도 여야는 공방을 이어갔는데요. 남북경협으로 평화경제를 이룬다면 일본을 바로 따라잡을 수 있다는 문 대통령의 구상에 대해 보수야당은 현실성 없다고 비판하고 나섰죠?
<질문 3> 어제 국회 운영위에서는 청와대 업무보고가 있었는데요. 일본 경제 보복 조치, 북한 단거리 미사일 발사 등의 쟁점을 놓고 격론이 펼쳐졌습니다. 북한 핵실험 횟수 등과 관련한 오답 논란도 있었는데요. 야당의 질의도 문제지만 청와대 참모들의 대응도 적절했는지를 두고 평가가 갈리는 모습입니다. 어떻게 보셨습니까?
<질문 4> 민주당은 안중근 의사의 '독립' 글귀가 담긴 배경막을 설치하는 등 극일 여론전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모습입니다. 반면 자유 한국은 '총선에 안보도 경제도 팔아먹은 민주당'이라는 배경막을 달았어요. 이번 일본의 경제보복을 대하는 양당의 태도와 해석이 극명하게 갈리죠.
<질문 5> 민주당 일본경제침략대책특별위원회는 방사성 물질 검출 등을 이유로 일본으로의 여행 규제 조치가 필요하다고 주장하는데요. 관련 내용을 정부 측에 전달했다고 합니다. 나아가 도쿄 올림픽 보이콧 여부도 논의하겠다는 입장인데요. 일각에선 스포츠 분야까지 넘어서지는 말자는 신중론도 제기되고 있죠?
<질문 6> 여야는 경제진단에 있어서도 온도차를 보였는데요. 환율이 급등하고 증시가 하락한 것과 관련해 한국당은 장기침체가 우려된다면서 IMF 사태 당시 교훈을 잊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한 반면 민주당은 위기감 조성을 자제해야 한다고 강조했는데요. 일각에선 제기된 제 2IMF 위기 논란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7> 서울 중구청이 '노 재팬' 배너 깃발을 게양했다가 하루도 안 돼 반발 여론에 철거하는 소동을 빚었는데요. 어떻게 보셨습니까?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연합뉴스 긴급속보를 SMS로! SKT 사용자는 무료 체험!>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ADVERTISEMENT
이 기사 어떠셨나요?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