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전쟁' 비화한 미중 갈등…1%대 성장 현실화?

[앵커]

일본의 수출 규제로 힘든 한국 경제에 악재가 또 늘었습니다.

미국이 어제 달러당 7위안선 붕괴를 계기로 중국을 환율 조작국으로 지정하며 무역전쟁이 환율전쟁으로 비화했는데요.

양대 수출시장간 갈등 격화가 한국 경제성장률을 1%대까지 밀어내릴 것이란 전망이 나옵니다.

윤선희 기자가 알아봤습니다.

[기자]

한국 경제의 기초체력보다 나라 밖 악재가 문제다, 정부와 금융시장, 전문가들 다수의 견해입니다.

특히, 일본 수출 규제보다 새로 터진 미중 환율전쟁은 더 큰 악재가 아닐 수 없습니다.



양국이 관세와 환율을 무기로 경제전쟁에 나서면 두 나라에 교역 의존도가 높은 한국은 수출, 생산, 투자까지 실물경제의 총체적 부진으로 귀결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국제신용평가사 피치는 한국을 미중 갈등 격화시 피해가 멕시코에 이어 두 번째로 큰 나라로 꼽으며 지난 2일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76%로 낮췄습니다.

국내외 43개 기관의 올해 한국 성장률 전망 평균은 2.1%, 10곳은 이미 1%대입니다.



환율전쟁이란 추가 악재를 감안하면 평균 1%대로의 하락은 불가피해보입니다.

금융 안정도 큰 부담입니다.



4천억 달러 넘는 외환보유고와 경상수지 흑자에도 위안화 절하와 환율 조작국 지정 소식에 자본, 외환시장은 요동치고 있습니다.

<방기선 / 기획재정부 차관보> "미국 재무부가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하는 등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모습입니다. 향후에도 이런 대내외 리스크 요인들의 전개에 따라 국내 금융 외환시장 변동성 확대 가능성이 있습니다."

정부는 자본 이탈과 실물경기 둔화가 현실화할 경우 시장 안정 조치와 경기 확장정책 등 단계적 비상계획을 가동할 방침입니다.

연합뉴스TV 윤선희입니다. (indigo@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연합뉴스 긴급속보를 SMS로! SKT 사용자는 무료 체험!>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ADVERTISEMENT

이 기사 어떠셨나요?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