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일본 결정에 깊은 유감"…문 대통령 국무회의 소집
[앵커]
일본 정부가 우리나라의 국무회의 격인 각료회의를 통해 우리나라를 전략물자 수출 간소화 국가, 이른바 화이트리스트에서 제외하기로 의결했습니다.
청와대도 곧바로 브리핑을 열고 단호한 대응을 예고했습니다.
청와대 나가있는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히 알아봅니다.
방준혁 기자.
[기자]
네, 청와대가 일본의 화이트리스트 배제 결정이 나온 지 한 시간도 안 된 11시쯤, 일본을 규탄하는 브리핑을 했습니다.
아베 내각의 결정에 깊은 유감을 표하면서 동시에 강력한 대응을 예고했는데요.
고민정 청와대 대변인은 그동안 우리 정부가 한일 갈등의 문제 해결을 위한 "외교적 협의와 대화 의사를 지속적으로 표명해왔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우리 정부가 끝까지 열린 자세로 임했지만, 일본이 결국 화이트리스트 배제 강행이란 결정을 내렸다는 것입니다.
청와대는 또 앞으로 우리 정부가 "일본의 이런 부당한 조치에 대해 단호한 자세로 대응해나갈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
일단 문재인 대통령은 오늘 오후에 열릴 임시 국무회의에서 직접 입장을 밝힐 예정입니다.
청와대는 직접 이 사안에 대한 컨트롤타워가 되겠다는 점도 함께 밝혔습니다.
고민정 대변인은 "청와대가 앞으로 화이트리스트 제외와 관련한 상황을 직접 점검하기 위해 태스크포스와 상황반을 설치"하고, "긴밀하고 신속하게 대응해나갈 예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대외적인 상황을 분석할 상황반은 김상조 정책실장이, 그리고 실무적인 업무를 할 태스크포스는 윤건영 국정상황실장이 각각 이끌 예정입니다.
[앵커]
문재인 대통령이 임시 국무회의를 소집했다고 했는데, 무슨 이야기가 나올지도 함께 전해주시죠.
[기자]
네, 문재인 대통령이 임시 국무회의를 소집한 건 일본의 결정이 내려진 지 30분도 안 된 시점이었습니다.
그만큼 청와대가 긴급하게 대응하다는 방증일 텐데, 국무회의는 오후 2시쯤 이곳 청와대에서 열릴 예정입니다.
문 대통령은 여기서 직접 일본의 경제 보복에 대한 메시지를 낼 것으로 보이는데요.
일본이 추가 보복 조치를 강행한다면 강력하게 대응하겠다고 밝혀왔던 만큼, 여태까지 중 강한 대일 메시지가 나올 거란 관측입니다.
여기에 더해 문 대통령이 직접 일본을 향한 조치를 밝힐 가능성이 거론됩니다.
우리 정부가 맞대응 카드로 검토해온 한일 군사 정보 보호 협정, 지소미아(GSOMIA)를 고려하겠단 입장을 낼지 관심이 쏠립니다.
한편 문 대통령은 국무회의에서 우리 국민들을 향한 당부도 덧붙일 걸로 보입니다.
우리 정부가 미리 준비한 계획대로 움직일 거고, 단기부터 중장기적인 대응책에 맞춰 화이트리스트 배제 조치의 피해를 최소화하겠다는 각오를 밝힐 거란 관측입니다.
[앵커]
그렇다면 우리 정부가 준비한 구체적인 대응 조치는 어떤 게 될까요?
[기자]
네, 무엇보다 국내 산업에 미칠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현실적인 대응책 마련에 주력할 거란 전망입니다.
일단 국무회의가 끝나면, 홍남기 경제부총리가 관계장관 합동 브리핑을 통해 종합 대응 방안에 대해 자세히 밝힐 예정입니다.
상당히 구체적인 대응책이 나오지 않을까 예상하는데, 앞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시행령을 개정해 이와 관련된 내용을 밝힐 가능성이 거론됩니다.
일본의 화이트리스트 배제 조치로 피해를 입은 특정 수입품목에 관세를 인하해주거나, 연구 개발과 관련한 인허가를 지원해줄 수 있다는 겁니다.
모레(4일)는 고위 당정청 회의를 거쳐 좀 더 근본적인 부분, 그러니까 부품과 소재 분야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종합대책이 발표될 걸로 예상됩니다.
지금까지 청와대에서 연합뉴스TV 방준혁입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연합뉴스 긴급속보를 SMS로! SKT 사용자는 무료 체험!>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앵커]
일본 정부가 우리나라의 국무회의 격인 각료회의를 통해 우리나라를 전략물자 수출 간소화 국가, 이른바 화이트리스트에서 제외하기로 의결했습니다.
청와대도 곧바로 브리핑을 열고 단호한 대응을 예고했습니다.
청와대 나가있는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히 알아봅니다.
방준혁 기자.
[기자]
네, 청와대가 일본의 화이트리스트 배제 결정이 나온 지 한 시간도 안 된 11시쯤, 일본을 규탄하는 브리핑을 했습니다.
아베 내각의 결정에 깊은 유감을 표하면서 동시에 강력한 대응을 예고했는데요.
고민정 청와대 대변인은 그동안 우리 정부가 한일 갈등의 문제 해결을 위한 "외교적 협의와 대화 의사를 지속적으로 표명해왔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우리 정부가 끝까지 열린 자세로 임했지만, 일본이 결국 화이트리스트 배제 강행이란 결정을 내렸다는 것입니다.
청와대는 또 앞으로 우리 정부가 "일본의 이런 부당한 조치에 대해 단호한 자세로 대응해나갈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
일단 문재인 대통령은 오늘 오후에 열릴 임시 국무회의에서 직접 입장을 밝힐 예정입니다.
청와대는 직접 이 사안에 대한 컨트롤타워가 되겠다는 점도 함께 밝혔습니다.
고민정 대변인은 "청와대가 앞으로 화이트리스트 제외와 관련한 상황을 직접 점검하기 위해 태스크포스와 상황반을 설치"하고, "긴밀하고 신속하게 대응해나갈 예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대외적인 상황을 분석할 상황반은 김상조 정책실장이, 그리고 실무적인 업무를 할 태스크포스는 윤건영 국정상황실장이 각각 이끌 예정입니다.
[앵커]
문재인 대통령이 임시 국무회의를 소집했다고 했는데, 무슨 이야기가 나올지도 함께 전해주시죠.
[기자]
네, 문재인 대통령이 임시 국무회의를 소집한 건 일본의 결정이 내려진 지 30분도 안 된 시점이었습니다.
그만큼 청와대가 긴급하게 대응하다는 방증일 텐데, 국무회의는 오후 2시쯤 이곳 청와대에서 열릴 예정입니다.
문 대통령은 여기서 직접 일본의 경제 보복에 대한 메시지를 낼 것으로 보이는데요.
일본이 추가 보복 조치를 강행한다면 강력하게 대응하겠다고 밝혀왔던 만큼, 여태까지 중 강한 대일 메시지가 나올 거란 관측입니다.
여기에 더해 문 대통령이 직접 일본을 향한 조치를 밝힐 가능성이 거론됩니다.
우리 정부가 맞대응 카드로 검토해온 한일 군사 정보 보호 협정, 지소미아(GSOMIA)를 고려하겠단 입장을 낼지 관심이 쏠립니다.
한편 문 대통령은 국무회의에서 우리 국민들을 향한 당부도 덧붙일 걸로 보입니다.
우리 정부가 미리 준비한 계획대로 움직일 거고, 단기부터 중장기적인 대응책에 맞춰 화이트리스트 배제 조치의 피해를 최소화하겠다는 각오를 밝힐 거란 관측입니다.
[앵커]
그렇다면 우리 정부가 준비한 구체적인 대응 조치는 어떤 게 될까요?
[기자]
네, 무엇보다 국내 산업에 미칠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현실적인 대응책 마련에 주력할 거란 전망입니다.
일단 국무회의가 끝나면, 홍남기 경제부총리가 관계장관 합동 브리핑을 통해 종합 대응 방안에 대해 자세히 밝힐 예정입니다.
상당히 구체적인 대응책이 나오지 않을까 예상하는데, 앞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시행령을 개정해 이와 관련된 내용을 밝힐 가능성이 거론됩니다.
일본의 화이트리스트 배제 조치로 피해를 입은 특정 수입품목에 관세를 인하해주거나, 연구 개발과 관련한 인허가를 지원해줄 수 있다는 겁니다.
모레(4일)는 고위 당정청 회의를 거쳐 좀 더 근본적인 부분, 그러니까 부품과 소재 분야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종합대책이 발표될 걸로 예상됩니다.
지금까지 청와대에서 연합뉴스TV 방준혁입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연합뉴스 긴급속보를 SMS로! SKT 사용자는 무료 체험!>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ADVERTISEMENT
이 기사 어떠셨나요?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