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번지] 방일단, 자민당 간사장 면담 무산…日 취소 통보

<출연 : 김현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정태근 전 한나라당 의원>

한일 간에 꼬인 매듭은 언제쯤 풀 수 있을까요.

한일 외교수장의 만남은 결국 빈손으로 끝났고, 국회 차원에서 일본을 방문한 여야 의원들은 일방적으로 만남 취소를 당했습니다.



일본이 수출심사 우대 대상인 백색국가에서 우리나라를 제외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정부도 최악의 사태에 대비하고 있는데요.

김현 전 민주당 의원, 정태근 전 한나라당 의원과 짚어봅니다

<질문 1> 한일 양국 외교수장의 만남 결국은 빈손회담으로 끝났고요. 여기에 국회 방일단은 일본 자민당 니카이 간사장 면담 하려다 두 차례나 일방 취소를 당했습니다. 외교적 결례를 넘어선 이런 일본 측의 무례한 행보 어떻게 봐야합니까?

<질문 1-1> 강창일 의원은 만나려던 자민당의 '2인자'로 불리는 니카이 간사장이 만남을 거부한 이유가 아베 총리의 의중과 함구령이 내려온 것 아닌가, 지적하는데요. 결국은 강경행보를 지속하겠다는 의미로 봐야겠죠?

<질문 2> 결국은 한일 의회의 공동발표문 채택도 무산됐고, 그대로 귀국길에 오르게 됐는데요. 방미단 때도 그랬고요. 사실 의회차원에서 답을 구하기 어려운 문제다 보니 의원 외교의 실효성 이야기가 나옵니다. 이 부분은 어떻게 생각하세요?

<질문 3> 일본의 강경 행보에 총력 대응을 예고하는 정치권 목소리 듣고 왔는데요. 어제 정부도 일본에 모든 조치를 포함해 단호한 대응의지를 밝히며 경고한 바 있는데요. 장기적인 대책도 필요해 보여요. 어떻게 대응해 나가야 한다고 보십니까?

<질문 4> 초당적 비상협력기구인 '일본 수출규제 대책 민·관·정 협의회'가 어제 첫회의를 가졌는데요. 여러 대책이 나왔는데, 단기간에 일본 의존도를 줄이고 국산화율을 높인다는 정부대책이 비현실적이란 지적도 나옵니다?

<질문 5> 이런 상황에 더불어민주당 싱크탱크인 민주연구원이 소속 의원들에게 배포한 한일갈등 여론동향 보고서가 논란입니다. 민주연구원에서는 공식입장이 아닌 보고서가 오해를 초래했다는 건데, 먼저 설명이 필요할 것 같아요?

<질문 5-1> 민주연구원의 이번 보고서 내용의 맥락과 시점에 대해서 정 의원께서는 어떻게 보고 계십니까?

<질문 6> 야권에서는 국가 위기를 호재로 여겼다며 표가 우선이냐고 비판하는데요. 민주당 홍익표 의원은 이런식의 야당 대응이 오히려 일본의 프레임에 말리는 것이라고 지적합니다. 사실은 어느 정당의 정책 연구소든 이런 보고서가 나올 수 있다는 목소리도 있고요?

<질문 6-1> 양정철 민주연구원장의 사과에도 야당은 거듭 양 원장 사퇴를 촉구하고 있어요. 사퇴할 문제라고 보십니까?

<질문 7> 한국당 이야기도 해보죠. 최근 계파갈등과 리더십 논란에 휩싸인 황교안 대표, 공개경고에 나섰습니다. "당을 망치는 계파적 발상과 이기적 정치 행위에 대해 책임을 묻겠다, 반드시 신상하고 필벌하겠다" 아주 직설적으로 밝혔어요. 어떻게 들으셨습니까?

<질문 7-1> 일각에서는 비판을 경청하기보다 배척하는 듯한 황 대표의 모습이 오히려 당내 통합 동력을 떨어뜨린다는 우려도 나오는데요?

<질문 8> 황 대표의 경고 직전까지도 오늘 방송 인터뷰 등을 통해 비박계에서는 황 대표의 각성을 촉구하는 주장이 나왔거든요. "친박 비박이 없다"는 황 대표의 발언이 과연 당 내 비판의 목소리를 잠재울 수 있을까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연합뉴스 긴급속보를 SMS로! SKT 사용자는 무료 체험!>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ADVERTISEMENT

이 기사 어떠셨나요?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