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원산에서 동해로 단거리미사일 2발 발사
[앵커]
북한이 오늘 아침 원산 호도반도 일대에서 단거리 발사체 2발을 발사했습니다.
합동참모본부는 이번 발사체를 단거리 미사일로 평가했는데요.
자세한 소식 국방부 연결해 들어보겠습니다.
정다예 기자.
[기자]
네, 북한이 오늘 아침 2발의 발사체를 동해를 향해 발사했습니다.
합동참모본부는 북한의 발사체를 단거리미사일로 추정했습니다.
탄도미사일인지 여부에 대해서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며 분석 중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합참은 북한이 발사한 단거리 미사일이 원산 호도반도 일대에서 오늘 오전 5시 34분과 23분 뒤인 5시57분 포착됐다고 밝혔습니다.
첫 번째 단거리미사일은 약 430㎞를 비행한 뒤 동해 바다에 떨어졌고, 두 번째 단거리미사일은 비슷한 거리를 비행해 마찬가지로 바다에 떨어진 것으로 추정됐습니다.
두 발의 단거리미사일 모두 최고 고도 50㎞로 잠정 평가됐습니다.
합참에 따르면 이번 단거리미사일은 지상 이동식 발사대에서 발사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이번에 발사된 단거리미사일은 지난 5월 발사한 북한판 이스칸데르급 단거리 미사일과 비슷한 고도와 비행궤적을 그린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합동참모본부는 "미사일의 세부사항에 대해서는 한미 당국이 분석 중"이라며 "우리 군은 추가 발사에 대비해 관련 동향을 추적 감시하며 대비 태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앵커]
이번 단거리 미사일 발사의 의미도 짚어주시죠.
[기자]
네, 북한이 단거리미사일 발사는 지난 5월 9일 이후 77일만입니다.
북한은 최근 강도를 높이며 압박을 이어오고 있는데요.
직전에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74일 만의 공개 군사행보로 신규 건조 잠수함을 시찰하기도 했습니다.
김 위원장이 이번 단거리 미사일 발사를 참관했는지는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합참은 최근 인근지역에서 공개활동을 한 만큼 관련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앞서서는 다음 달로 예정된 한미 연합훈련, 19-2 동맹 연습의 중단을 지속적으로 촉구해왔는데요.
이번 단거리 미사일 발사도 이런 흐름 속에서 이뤄진 것으로 파악됩니다.
북한은 지난달 30일 판문점 회동에서 북미 정상이 약속한 실무 협상 기한에 즈음해 압박의 강도를 점차 높여나가고 있습니다.
당시 김 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3주 이내에 실무협상을 개최하는 데 합의했습니다.
대화 재개를 앞두고 미국을 겨냥해 개선된 비핵화 협상안을 가져오라는 압박의 성격이라고 볼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입니다.
그러면서도 대화의 판 자체를 깨지 않기 위해 도발의 수위만큼은 조절하는 모습인데요.
이 때문에 레드라인으로 여겨지는 대륙간탄도미사일, ICBM과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 SLBM 대신 사거리가 짧은 미사일을 지상에서 발사했을 것이란 관측입니다.
또 중국과 러시아 군용기들이 연합 훈련을 벌인 동해에 미사일을 발사함으로써 한반도를 둘러싼 열강들의 각축전에서 존재감을 과시하려는 의도도 있었을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한편 청와대도 비상 대응 체제에 들어갔다고 하는데, 관련 내용도 전해주시죠.
[기자]
네, 한정우 청와대 부대변인은 "청와대는 북한의 단거리 미사일 발사와 관련해 국가안보실 위기관리를 통해 긴밀한 상황관리를 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문재인 대통령도 상황 발생 즉시 국가안보실로부터 보고를 받았습니다.
다만 청와대는 즉각적인 대응에 나서기보다는, 일단 정확한 상황 파악에 주력하겠다는 신중한 입장을 보였습니다.
청와대 관계자는 "현재 북한이 쏜 미사일의 구체적인 정보 파악에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또 합참이 발사체 제원 등을 파악하는 대로 청와대가 보고받고, 대응책을 마련할 예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청와대의 공식 대응은 미사일에 대한 상황 분석이 어느 정도 이뤄진 후에야 가능할 거란 전망입니다.
북한이 미국과 비핵화 협상을 진행 중인 상황에서 왜 이런 결정을 내렸는지, 자세한 의도를 파악해야 한다는 판단입니다.
한편 청와대는 매주 정례적으로 열리는 국가안전보장회의, NSC 상임위원회에서 이번 미사일 발사와 관련해 구체적으로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다만 상임위를 전체회의로 전환해 문재인 대통령이 직접 참석할지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고 청와대 관계자는 전했습니다.
지금까지 국방부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앵커]
북한이 오늘 아침 원산 호도반도 일대에서 단거리 발사체 2발을 발사했습니다.
합동참모본부는 이번 발사체를 단거리 미사일로 평가했는데요.
자세한 소식 국방부 연결해 들어보겠습니다.
정다예 기자.
[기자]
네, 북한이 오늘 아침 2발의 발사체를 동해를 향해 발사했습니다.
합동참모본부는 북한의 발사체를 단거리미사일로 추정했습니다.
탄도미사일인지 여부에 대해서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며 분석 중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합참은 북한이 발사한 단거리 미사일이 원산 호도반도 일대에서 오늘 오전 5시 34분과 23분 뒤인 5시57분 포착됐다고 밝혔습니다.
첫 번째 단거리미사일은 약 430㎞를 비행한 뒤 동해 바다에 떨어졌고, 두 번째 단거리미사일은 비슷한 거리를 비행해 마찬가지로 바다에 떨어진 것으로 추정됐습니다.
두 발의 단거리미사일 모두 최고 고도 50㎞로 잠정 평가됐습니다.
합참에 따르면 이번 단거리미사일은 지상 이동식 발사대에서 발사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이번에 발사된 단거리미사일은 지난 5월 발사한 북한판 이스칸데르급 단거리 미사일과 비슷한 고도와 비행궤적을 그린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합동참모본부는 "미사일의 세부사항에 대해서는 한미 당국이 분석 중"이라며 "우리 군은 추가 발사에 대비해 관련 동향을 추적 감시하며 대비 태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앵커]
이번 단거리 미사일 발사의 의미도 짚어주시죠.
[기자]
네, 북한이 단거리미사일 발사는 지난 5월 9일 이후 77일만입니다.
북한은 최근 강도를 높이며 압박을 이어오고 있는데요.
직전에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74일 만의 공개 군사행보로 신규 건조 잠수함을 시찰하기도 했습니다.
김 위원장이 이번 단거리 미사일 발사를 참관했는지는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합참은 최근 인근지역에서 공개활동을 한 만큼 관련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앞서서는 다음 달로 예정된 한미 연합훈련, 19-2 동맹 연습의 중단을 지속적으로 촉구해왔는데요.
이번 단거리 미사일 발사도 이런 흐름 속에서 이뤄진 것으로 파악됩니다.
북한은 지난달 30일 판문점 회동에서 북미 정상이 약속한 실무 협상 기한에 즈음해 압박의 강도를 점차 높여나가고 있습니다.
당시 김 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3주 이내에 실무협상을 개최하는 데 합의했습니다.
대화 재개를 앞두고 미국을 겨냥해 개선된 비핵화 협상안을 가져오라는 압박의 성격이라고 볼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입니다.
그러면서도 대화의 판 자체를 깨지 않기 위해 도발의 수위만큼은 조절하는 모습인데요.
이 때문에 레드라인으로 여겨지는 대륙간탄도미사일, ICBM과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 SLBM 대신 사거리가 짧은 미사일을 지상에서 발사했을 것이란 관측입니다.
또 중국과 러시아 군용기들이 연합 훈련을 벌인 동해에 미사일을 발사함으로써 한반도를 둘러싼 열강들의 각축전에서 존재감을 과시하려는 의도도 있었을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한편 청와대도 비상 대응 체제에 들어갔다고 하는데, 관련 내용도 전해주시죠.
[기자]
네, 한정우 청와대 부대변인은 "청와대는 북한의 단거리 미사일 발사와 관련해 국가안보실 위기관리를 통해 긴밀한 상황관리를 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문재인 대통령도 상황 발생 즉시 국가안보실로부터 보고를 받았습니다.
다만 청와대는 즉각적인 대응에 나서기보다는, 일단 정확한 상황 파악에 주력하겠다는 신중한 입장을 보였습니다.
청와대 관계자는 "현재 북한이 쏜 미사일의 구체적인 정보 파악에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또 합참이 발사체 제원 등을 파악하는 대로 청와대가 보고받고, 대응책을 마련할 예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청와대의 공식 대응은 미사일에 대한 상황 분석이 어느 정도 이뤄진 후에야 가능할 거란 전망입니다.
북한이 미국과 비핵화 협상을 진행 중인 상황에서 왜 이런 결정을 내렸는지, 자세한 의도를 파악해야 한다는 판단입니다.
한편 청와대는 매주 정례적으로 열리는 국가안전보장회의, NSC 상임위원회에서 이번 미사일 발사와 관련해 구체적으로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다만 상임위를 전체회의로 전환해 문재인 대통령이 직접 참석할지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고 청와대 관계자는 전했습니다.
지금까지 국방부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ADVERTISEMENT
이 기사 어떠셨나요?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