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은 탈일본 '잰걸음'…정부는 재정지원·규제완화

[앵커]

일본 수출 규제가 장기화할 조짐을 보이는 가운데 우리 기업들은 '탈 일본화'를 추진하고 있는데요.

정부는 재정 투입과 규제 완화로 지원에 나서지만 성과를 거두려면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입니다.

김지수 기자입니다.

[기자]

일본의 수출 규제 확대와 장기화 가능성이 커지면서 국내 관련 업계의 우려도 깊어지고 있습니다.

일본이 스마트폰과 가전 등 완제품 분야 부품이나 소재의 수출도 규제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옵니다.

삼성전자는 조만간 모바일·가전 부문 경영진 회의를 열고 비상계획을 마련할 것으로 보입니다.

일본산 재료를 대체할 공급처를 찾는데도 서두르고 있습니다.

LG디스플레이는 일본 규제 3개 품목 중 하나인 불화수소의 경우 국내 업체 제품을 최종 시험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도 중국과 대만에서 생산한 불화수소를 테스트 중입니다.

<이주완 / 하나금융연구소 연구위원> "일본의 수출 제재는 장기화될 가능성이 점점 높아지고 있는데요. 삼성, 하이닉스, LG 등 기업들은 장기화를 대비한 포석에서 다른 나라 제품이나 국산화 테스트에 들어간 것으로…"

일본이 수소차 등 우리 정부가 미래 먹거리로 선정한 수소경제 육성을 견제하기 위해 관련 품목 수출을 규제할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현재 수소저장탱크 소재인 탄소섬유와 연료전지에 들어가는 전해질막은 전량 일본에서 수입하고 있습니다.

정부도 일본 수출 규제에 대응해 조속한 기술개발이 필요한 핵심 연구개발 과제 중심으로 예비타당성조사를 면제해 내년 예산에 반영할 계획입니다.

또 연구개발 분야 세제 혜택을 확대하고 화학물질 등의 인허가 기간을 단축해 빠른 출시를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소재·부품 국산화를 위한 실증 테스트 등 신속한 연구개발을 위해 주 52시간 초과 근로가 불가피한 경우 이를 허용하는 방안도 검토합니다.

연합뉴스TV 김지수입니다. (goodman@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ADVERTISEMENT

이 기사 어떠셨나요?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