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국제법 위반 주체는 일본"…고노 담화 정면 반박

[앵커]

청와대가 조금 전 브리핑을 열고 우리 정부가 국제법을 위반했다는 고노 다로 일본 외무상의 발언을 조목조목 반박했습니다.

오히려 일본이 국제법을 위반했다며 강하게 비판했는데요.

자세한 내용 보도국 연결해 알아보겠습니다.

이재동 기자.

[기자]

네, 청와대가 조금 전 브리핑을 열고 추가 보복에 나설 것을 시사한 고노 다로 일본 외무상의 담화를 정면 반박했습니다.

김현종 청와대 국가안보실 2차장이 직접 브리핑에 나섰는데요.

김 차장은 먼저 "우리가 국제법을 위반하고 있다는 일본의 주장은 잘못된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우리 정부가 강제징용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본과 외교채널을 통해 지속적인 협의를 해왔는데도 일본이 오히려 일방적인 수출규제 조치를 취했다는 건데요.

"일본의 이런 조치는 자유무역 규범과 원칙 등을 심각히 훼손한다"며 "국제법 위반 주체는 일본"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당초 강제징용이란 반인도적 행위로 국제법을 위반한 것도 일본이고 이런 점을 우리 대법원 판결이 지적했다"고도 언급했습니다.

김 차장은 "일본은 3국 중재위를 통한 문제 해결을 주장하고 있지만, 우리로서는 일본이 설정한 일방적인 시한에 동의한 적이 없다"고도 강조했습니다.

더구나 3국 중재위를 통한 방법은 근본적 문제 해결이 힘들고 국민 적대감이 커져서 미래지향적 관계에도 부정적 영향 미칠 수 있다고 우려했는데요.

우리 정부는 다만 "모든 건설적 제안에 열려있다"며 "양국 국민과 피해자의 공감을 얻을 수 있는 합리적 방안을 일본과 함께 논의한다는 입장"이라고 말했습니다.

또 일본이 부당한 수출규제조치를 철회하고, 상황을 추가적으로 악화시킬 조치를 취하지 않기를 강력히 희망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앵커]

이에 앞서 외교부도 일본 정부가 일방적인 압박을 거두고 외교적 해결의 장으로 돌아오라는 입장문을 냈죠?

[기자]

네, 그렇습니다.

청와대에 앞서 우리 외교부도 오늘 오후 고노 다로 일본 외무상의 담화를 즉각 반박하는 입장문을 내놨습니다.

외교부는 "우리 정부는 일본의 일방적이고 자의적인 주장에 동의할 수 없다"며 "이와 관련한 요구에 구속될 필요가 없다"고 밝혔습니다.

오히려 "문제의 진정한 해결을 위해서는 일본이 불행한 역사를 직시하면서 피해자의 고통과 상처를 치유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는데요.

외교부는 그러면서 양국 국민과 피해자들의 공감을 얻을 수 있는 합리적인 방안을 함께 논의해 보자고 일본에 제안했습니다.

또 "일본 정부가 보복적 성격의 수출규제 등 일방적인 압박을 거두고 외교의 장으로 돌아오기를 기대한다"며 일본 측에 경제보복 철회와 외교적 해법을 거듭 촉구했습니다.

지금까지 보도국에서 연합뉴스TV 이재동입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