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호의 경제읽기] 이번 주 '수출 규제' 한일갈등 분수령
<츨연 : 김대호 경제학박사>
일본이 반도체 소재를 수출 규제한데 이어 안보상 우호국인 백색국가에서 우리나라를 제외하는 경제보복을 기정사실화 하며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데요.
오는 18일이 추가보복의 분기점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배경부터 전망까지 짚어보겠습니다.
<김대호의 경제읽기> 김대호 경제학박사와 함께하겠습니다.
박사님 안녕하십니까?
<질문 1> 일본 출장을 떠났던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귀국 후 급히 긴급 회의를 여는가하면 비상경영을 선언했습니다. 사태가 생각보다 더 심각한걸까요? 비상경영 선언, 어떤 의미입니까?
<질문 2> 지난 12일, 일본의 수출 규제 후 첫 한일간 실무협의가 있었죠. 일본은 대북 물자 반출에 대해서는 물러섰지만 우리나라를 백색국가 명단에서 제외하는 일은 강행하겠다는 의지를 보였습니다. 만약 일본의 백색국가 제외가 현실화되면 어느정도 타격을 받게 될까요?
<질문 2-1> 세계 경제도 영향 크게 받을 것 같은데 이 부분은 어떻습니까?
<질문 2-2> 이런 가운데 러시아가 수출 규제 품목 중 하나인 불화수소를 공급하겠다고 제안했다던데요. 바로 대체가 가능할까요?
<질문 3> 일본 수출 규제의 역설이라고 해야할까요? 한동안 하락세를 보이던 메모리 값이 반등하고 있다는데 가격 상승의 배경, 뭐라고 보시나요? 마냥 기뻐할 일은 아니라고 하던데 어떤 이유가 있기 때문인가요?
<질문 4> 이런 상황 속 한국인을 자극하는 걸까요? 일본기업인 유니클로가 한국인들의 불매운동이 그리 오래 가지 않을 것이라고 말해 눈길을 끌고 있더라고요?
<질문 4-1> 일본 불매 운동 성공하려면 불매보다 일본 여행 자제가 답이라는 의견도 나오고 있습니다. 해당 의견, 설득력 있다 보십니까?
<질문 5> 오는 18일이 추가 보복의 분기점이 될 것이란 관측이 많습니다. 일본이 제안한 강제징용 관련 '제3국 중재위원회 구성'에 대한 우리 정부의 답변 기한이기 때문인데요. 미국의 중재 역할에도 관심이 모아졌지만 당장 개입을 기대하긴 어려워보이는 상황 속 정부가 어떻게 움직여야한다 생각하십니까?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츨연 : 김대호 경제학박사>
일본이 반도체 소재를 수출 규제한데 이어 안보상 우호국인 백색국가에서 우리나라를 제외하는 경제보복을 기정사실화 하며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데요.
오는 18일이 추가보복의 분기점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배경부터 전망까지 짚어보겠습니다.
<김대호의 경제읽기> 김대호 경제학박사와 함께하겠습니다.
박사님 안녕하십니까?
<질문 1> 일본 출장을 떠났던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귀국 후 급히 긴급 회의를 여는가하면 비상경영을 선언했습니다. 사태가 생각보다 더 심각한걸까요? 비상경영 선언, 어떤 의미입니까?
<질문 2> 지난 12일, 일본의 수출 규제 후 첫 한일간 실무협의가 있었죠. 일본은 대북 물자 반출에 대해서는 물러섰지만 우리나라를 백색국가 명단에서 제외하는 일은 강행하겠다는 의지를 보였습니다. 만약 일본의 백색국가 제외가 현실화되면 어느정도 타격을 받게 될까요?
<질문 2-1> 세계 경제도 영향 크게 받을 것 같은데 이 부분은 어떻습니까?
<질문 2-2> 이런 가운데 러시아가 수출 규제 품목 중 하나인 불화수소를 공급하겠다고 제안했다던데요. 바로 대체가 가능할까요?
<질문 3> 일본 수출 규제의 역설이라고 해야할까요? 한동안 하락세를 보이던 메모리 값이 반등하고 있다는데 가격 상승의 배경, 뭐라고 보시나요? 마냥 기뻐할 일은 아니라고 하던데 어떤 이유가 있기 때문인가요?
<질문 4> 이런 상황 속 한국인을 자극하는 걸까요? 일본기업인 유니클로가 한국인들의 불매운동이 그리 오래 가지 않을 것이라고 말해 눈길을 끌고 있더라고요?
<질문 4-1> 일본 불매 운동 성공하려면 불매보다 일본 여행 자제가 답이라는 의견도 나오고 있습니다. 해당 의견, 설득력 있다 보십니까?
<질문 5> 오는 18일이 추가 보복의 분기점이 될 것이란 관측이 많습니다. 일본이 제안한 강제징용 관련 '제3국 중재위원회 구성'에 대한 우리 정부의 답변 기한이기 때문인데요. 미국의 중재 역할에도 관심이 모아졌지만 당장 개입을 기대하긴 어려워보이는 상황 속 정부가 어떻게 움직여야한다 생각하십니까?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