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국민 날선 감정…한일 실무협의 진통 예고
[뉴스리뷰]
[앵커]
수출규제를 둘러싼 한일 양국의 입장이 평행선을 달리며 여론의 쏠림 현상도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현재로서는 대화를 통해 해결될 기미조차 보이지 않는 상황입니다.
정호윤 기자입니다.
[기자]
일본 정부는 수출규제는 한일 간 협의 대상이 아니라며 사태 해결을 위한 공을 한국으로 떠넘겼습니다.
규제의 이유는 명확하게 설명하지 않으면서, 뜬금없는 안보위협을 거론하며 유엔 제재대상인 북한을 끌어들이기까지 했습니다.
<세코 히로시게 / 일본 경제산업상> "(향후 사태는) 한국의 대응에 달렸습니다. 수출규제가 확대될 수도 있고, 통제가 제대로 될 경우 상황이 개선될 수도 있습니다"
양국 국민들의 감정도 팽팽하게 맞서는 모습입니다.
한국에서는 일본 상품 불매운동이 확산되는 등 날이 갈수록 반일감정이 커지고 있습니다.
반면 대다수 일본 국민들은 일본 정부의 조치가 적절했다고 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NHK의 여론조사 결과를 봐도 부절절한 대응이라는 응답은 9%에 불과했고, 45%는 적절했다고 대답했습니다.
다른 여론조사 역시 일본 정부의 조치가 타당하다는 의견이 58%로 압도적이었습니다.
이처럼 정부 간, 또 국민들간 악화된 감정을 품은 채 양국은 오는 12일 도쿄에서 실무협의를 가질 예정입니다.
요미우리신문은 이 자리에서도 일본은 수출규제의 정당성을 주장하고, 한국은 규제 철회를 요구할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아사히신문은 '정식 협의'가 아니라고 의미를 축소하는 등 양국의 접점 찾기가 어려울 거란 관측이 현지 언론들을 중심으로 쏟아지고 있습니다.
연합뉴스TV 정호윤입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뉴스리뷰]
[앵커]
수출규제를 둘러싼 한일 양국의 입장이 평행선을 달리며 여론의 쏠림 현상도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현재로서는 대화를 통해 해결될 기미조차 보이지 않는 상황입니다.
정호윤 기자입니다.
[기자]
일본 정부는 수출규제는 한일 간 협의 대상이 아니라며 사태 해결을 위한 공을 한국으로 떠넘겼습니다.
규제의 이유는 명확하게 설명하지 않으면서, 뜬금없는 안보위협을 거론하며 유엔 제재대상인 북한을 끌어들이기까지 했습니다.
<세코 히로시게 / 일본 경제산업상> "(향후 사태는) 한국의 대응에 달렸습니다. 수출규제가 확대될 수도 있고, 통제가 제대로 될 경우 상황이 개선될 수도 있습니다"
양국 국민들의 감정도 팽팽하게 맞서는 모습입니다.
한국에서는 일본 상품 불매운동이 확산되는 등 날이 갈수록 반일감정이 커지고 있습니다.
반면 대다수 일본 국민들은 일본 정부의 조치가 적절했다고 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NHK의 여론조사 결과를 봐도 부절절한 대응이라는 응답은 9%에 불과했고, 45%는 적절했다고 대답했습니다.
다른 여론조사 역시 일본 정부의 조치가 타당하다는 의견이 58%로 압도적이었습니다.
이처럼 정부 간, 또 국민들간 악화된 감정을 품은 채 양국은 오는 12일 도쿄에서 실무협의를 가질 예정입니다.
요미우리신문은 이 자리에서도 일본은 수출규제의 정당성을 주장하고, 한국은 규제 철회를 요구할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아사히신문은 '정식 협의'가 아니라고 의미를 축소하는 등 양국의 접점 찾기가 어려울 거란 관측이 현지 언론들을 중심으로 쏟아지고 있습니다.
연합뉴스TV 정호윤입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ADVERTISEMENT
이 기사 어떠셨나요?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