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호 잘못 눌러 연 2천억대 날아가…개정법안은 낮잠
[앵커]
요새 송금 같은 거래는 스마트폰이나 PC로 처리하는 분들이 많죠.
그렇다보니 계좌번호 잘못 눌러 작게는 몇 만원부터 수천만원까지 잘못 보내는 경우가 늘고 있습니다.
그런데 구제방법도 마땅치 않고 문제 해결을 위한 법 개정안은 언제 통과될지 알 수 없는 실정입니다.
소재형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 5월 카드대금 결제를 위해 폰뱅킹으로 280만원을 송금했던 한 모 씨.
하지만, 번호를 잘못 입력한 탓에 돈은 모르는 사람 계좌로 들어갔습니다.
은행에 해법을 문의했지만 수취인이 연락을 안받아 어쩔 수 없다는 말만 되풀이했습니다.
<한 모 씨 / 착오송금 피해자> "은행에서는 어떻게 해줄 수가 없다고 법률구조공단 가라는 식으로 나 몰라라 하더라고요…그거도 못 받을 수 있다고 상대방이 안 주면 그걸로 끝이라고…"
법상 은행은 송금 받은 사람의 인적 사항을 알려줄 수 없고 결국 소송을 걸어야 하는데 법률구조공단의 도움을 얻어도 최소 수십만원이 드니 포기하기 일쑤입니다.
<은행 관계자> "오송금의 경우 예금주에게 은행이 연락해서 예금을 돌려주도록 요청할 수 있으나, 예금주가 연락이 안 되거나 반환을 거부할 경우 은행이 따로 임의로 할 수 있는 방법은 없습니다."
아무런 대책이 없는 사이 착오송금은 매년 늘어 재작년엔 9만여건, 2,400억원에 달합니다.
미반환율도 56.3%, 송금받은 사람 절반 이상의 제 것 아닌 돈을 돌려주지 않고 있습니다.
그러자 금융당국은 예금보험공사가 착오송금액 80%를 피해자에게 내주고 송금받은 사람에게 그 돈을 청구하도록 예금자보호법 개정을 추진 중입니다.
하지만, 법 개정안은 제대로 심사도 이뤄지지 않은 채 국회에 계류 중이라 착오송금 문제가 언제 원활히 해결될지 알 수 없는 실정입니다.
연합뉴스TV 소재형입니다.
(sojay@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앵커]
요새 송금 같은 거래는 스마트폰이나 PC로 처리하는 분들이 많죠.
그렇다보니 계좌번호 잘못 눌러 작게는 몇 만원부터 수천만원까지 잘못 보내는 경우가 늘고 있습니다.
그런데 구제방법도 마땅치 않고 문제 해결을 위한 법 개정안은 언제 통과될지 알 수 없는 실정입니다.
소재형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 5월 카드대금 결제를 위해 폰뱅킹으로 280만원을 송금했던 한 모 씨.
하지만, 번호를 잘못 입력한 탓에 돈은 모르는 사람 계좌로 들어갔습니다.
은행에 해법을 문의했지만 수취인이 연락을 안받아 어쩔 수 없다는 말만 되풀이했습니다.
<한 모 씨 / 착오송금 피해자> "은행에서는 어떻게 해줄 수가 없다고 법률구조공단 가라는 식으로 나 몰라라 하더라고요…그거도 못 받을 수 있다고 상대방이 안 주면 그걸로 끝이라고…"
법상 은행은 송금 받은 사람의 인적 사항을 알려줄 수 없고 결국 소송을 걸어야 하는데 법률구조공단의 도움을 얻어도 최소 수십만원이 드니 포기하기 일쑤입니다.
<은행 관계자> "오송금의 경우 예금주에게 은행이 연락해서 예금을 돌려주도록 요청할 수 있으나, 예금주가 연락이 안 되거나 반환을 거부할 경우 은행이 따로 임의로 할 수 있는 방법은 없습니다."
아무런 대책이 없는 사이 착오송금은 매년 늘어 재작년엔 9만여건, 2,400억원에 달합니다.
미반환율도 56.3%, 송금받은 사람 절반 이상의 제 것 아닌 돈을 돌려주지 않고 있습니다.
그러자 금융당국은 예금보험공사가 착오송금액 80%를 피해자에게 내주고 송금받은 사람에게 그 돈을 청구하도록 예금자보호법 개정을 추진 중입니다.
하지만, 법 개정안은 제대로 심사도 이뤄지지 않은 채 국회에 계류 중이라 착오송금 문제가 언제 원활히 해결될지 알 수 없는 실정입니다.
연합뉴스TV 소재형입니다.
(sojay@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ADVERTISEMENT
이 기사 어떠셨나요?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