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잘해야 2.5% 성장"…일자리 증가는 20만명
[앵커]
정부가 결국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낮췄습니다.
정책 효과가 나타나면 최대 2.5% 성장이 예상된다는 것입니다.
수출과 투자 부진 심화가 원인인데요.
반대로 취업자 증가 목표는 5만 명 늘어난 20만 명으로 높였습니다.
정부의 올해 경제 전망, 먼저 이승국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정부가 새로 잡은 올해 성장률 목표는 당초 전망보다 0.2%포인트 낮은 2.4~2.5%, 지난해 성장률보다도 낮습니다.
전망치 하향의 최대 이유로 정부는 급격하게 악화하는 대외 여건을 들었습니다.
<이억원 / 기획재정부 경제정책국장> "글로벌 경기 둔화가 예상보다 더 심하게 진행되는 부분, 두 번째는 미·중 무역 갈등이 확대되고 장기화 되는 부분, 수출의 20%를 차지하고 있는 반도체 경기가 예상보다 지연되는 부분들이 종합적으로 반영이 돼서…"
이것도 두 달 넘게 국회에 발이 묶인 추가경정 예산안 6조 7,000억원의 7월 내 통과를 가정한 겁니다.
추경이 더 늦어지거나, 미·중 무역 분쟁이 다시 격화한다면 이마저도 녹록지 않은 상황입니다.
<성태윤 /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 "추가적인 정부 정책에 의한 적극적인 경기 부양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는 데에도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올해 연간 물가 상승률은 한국은행 예측치 1.1%보다 낮은 0.9%를 예상했는데, 이대로 되면 물가 상승률이 4년 만에 0%대가 됩니다.
그만큼 경제에 수요가 없다는 의미입니다.
경상수지 흑자 역시 수출 부진 탓에 지난해보다 150억 달러 이상 줄어든 605억 달러에 그칠 것이란 전망입니다.
정부는 취업자 증가 폭은 당초보다 5만 명 늘어난 20만 명선이 될 것으로 예측했는데 성장률 방어와 일자리 확대를 위해 대대적인 투자와 소비 촉진에 나설 계획입니다.
연합뉴스TV 이승국입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앵커]
정부가 결국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낮췄습니다.
정책 효과가 나타나면 최대 2.5% 성장이 예상된다는 것입니다.
수출과 투자 부진 심화가 원인인데요.
반대로 취업자 증가 목표는 5만 명 늘어난 20만 명으로 높였습니다.
정부의 올해 경제 전망, 먼저 이승국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정부가 새로 잡은 올해 성장률 목표는 당초 전망보다 0.2%포인트 낮은 2.4~2.5%, 지난해 성장률보다도 낮습니다.
전망치 하향의 최대 이유로 정부는 급격하게 악화하는 대외 여건을 들었습니다.
<이억원 / 기획재정부 경제정책국장> "글로벌 경기 둔화가 예상보다 더 심하게 진행되는 부분, 두 번째는 미·중 무역 갈등이 확대되고 장기화 되는 부분, 수출의 20%를 차지하고 있는 반도체 경기가 예상보다 지연되는 부분들이 종합적으로 반영이 돼서…"
이것도 두 달 넘게 국회에 발이 묶인 추가경정 예산안 6조 7,000억원의 7월 내 통과를 가정한 겁니다.
추경이 더 늦어지거나, 미·중 무역 분쟁이 다시 격화한다면 이마저도 녹록지 않은 상황입니다.
<성태윤 /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 "추가적인 정부 정책에 의한 적극적인 경기 부양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는 데에도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올해 연간 물가 상승률은 한국은행 예측치 1.1%보다 낮은 0.9%를 예상했는데, 이대로 되면 물가 상승률이 4년 만에 0%대가 됩니다.
그만큼 경제에 수요가 없다는 의미입니다.
경상수지 흑자 역시 수출 부진 탓에 지난해보다 150억 달러 이상 줄어든 605억 달러에 그칠 것이란 전망입니다.
정부는 취업자 증가 폭은 당초보다 5만 명 늘어난 20만 명선이 될 것으로 예측했는데 성장률 방어와 일자리 확대를 위해 대대적인 투자와 소비 촉진에 나설 계획입니다.
연합뉴스TV 이승국입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