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버스대란 피했다…파업상황 종료

[앵커]



우려했던 전국적인 '버스대란'은 피하게 됐습니다.

서울 버스 노사가 마라톤 협상 끝에 합의했고, 경기 지역도 파업을 유보하고 협상을 계속하기로 했습니다.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한 내용 알아보겠습니다.

강은나래 기자.

[기자]



네, 서울 시내버스 노사는 파업 예정시각을 불과 1시간 반 정도 앞둔 오늘(15일) 새벽 2시 30분쯤 가까스로 합의했습니다.



내년 임금을 3.6% 인상하고, 만 61세인 정년을 내후년 만 63세까지 단계적으로 연장하기로 했습니다.

이달 만료되는 복지기금도 2024년까지 5년 연장하기로 했습니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요금인상 없이 파업을 피한 것이 의미있다"고 평가했습니다.

이로써 오늘(15일) 예고됐던 파업은 취소돼 버스들이 모두 정상 운행 중입니다.

경기 버스노사는 진통 끝에 파업을 일단 유보하고, 추가 협상을 이어가기로 했습니다.

노조는 "버스 요금인상 발표에 따라 추가교섭 필요성이 제기됐다"고 설명했습니다.

수도권 '버스대란'은 피했지만, 경기 버스노사가 조정 기간을 이달 29일까지로 연장한 만큼 갈등의 불씨는 남았습니다.

이밖에 인천과 대구, 광주, 전남, 충남 등 다른 지역 버스노사도 협상을 마무리 짓고, 파업 계획을 취소하거나 유보했습니다.

[앵커]



제일 늦게까지 진통을 겪은 곳이 울산이죠?

실제로 짧지만 파업도 벌였는데, 협상이 어떻게 마무리 됐습니까?

[기자]



네, 마지막까지 남은 고비처가 바로 울산이었는데요.

울산 버스노사는 협상 18시간 만인 오전 8시반 쯤 임금 7% 인상 등 조건에 잠정 합의했고, 오전 11시쯤 최종 합의를 선언했습니다.

노사가 자정 이후 두 번이나 협상시한을 연장하는 등 줄다리기 교섭을 벌이면서, 6시간 넘게 버스 파업도 이어졌습니다.

비상차량이 투입됐지만, 출근길 시민들이 불편을 겪었습니다.

앞서 부산에서도 새벽 4시를 넘겨서야 노사 협상이 극적으로 타결됐습니다.

이 때문에 새벽 첫차가 1시간 늦게 출발하는 등 운행에 일부 차질이 있었습니다.

핵심 쟁점이었던 임금인상률은 3.9%에 합의하고, 근무 일수는 교대 근무를 도입해 월 24일로 정했습니다.



지금까지 정부서울청사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 어떠셨나요?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