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500인 이상 버스업체도 임금 2년 지원"

[앵커]

전국 시내버스와 광역버스의 총파업이 임박하자, 정부가 긴급 관계장관회의를 열어 대책을 내놨습니다.

500인 이상 버스업체에도 임금 지원을 2년까지 해주고 지방자치단체를 통한 간접지원도 하겠다는 겁니다.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한 소식 들어보겠습니다.

김지수 기자.

[기자]

네, 정부가 오늘 오후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국토·고용부 등 관계부처 장관회의를 갖고 버스 지원방안을 내놨습니다.

가장 논란인 임금 문제에 대해서 정부는 지원 기간 연장카드를 내놨습니다.

52시간 근로제에 맞춰 노동시간을 줄이고 인력을 채용한 기업에 1인당 최대 40만원까지 지원하는 '일자리 함께하기 사업'의 경우, 현재 500인 이상 사업장은 1년만 지원하는데 이를 2년으로 늘리겠다는 겁니다.



버스업체에 대한 국고 직접 지원은 어렵다는 입장을 재확인했지만 대신, 지방자치단체를 통한 간접 지원이 이뤄집니다.

교통취약지역 주민 교통권 보장을 위한 조치나 버스 공용 주차장 등 인프라를 지원하는 지자체를 국고로 보조하는 겁니다.

M-버스 같은 광역교통활성화 지원을 강화하고, 광역버스회차지·복합환승센터 등 교통안전 관련 지원도 확대합니다.

오늘 회의에 앞서 홍남기 경제부총리는 정부 서울청사에서 류근중 전국자동차노동조합연맹 위원장 등과 만났는데요.

이 자리에서 버스노조는 중앙정부 역할 강화 필요성을 제기했습니다.

한편, 정부는 "시민의 발인 버스가 멈춰서는 안된다"며 버스 노조가 15일 예고한 파업을 자제해줄 것을 강력하게 요청했습니다.

정부는 내일 오전 당정협의를 열어 오늘 논의한 사항을 확정할 예정입니다.



지금까지 보도국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 어떠셨나요?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