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번지] 靑 '여야 5당 대표 회동 후 1대1 회담' 제안

<출연 : 김성완 시사평론가ㆍ이준석 바른미래당 최고위원>

문재인 대통령이 제안한 여야 대표와의 회담 형식을 놓고 청와대와 제1야당인 한국당과의 신경전이 계속됐는데요.

한국당의 일대일 회동 제안을 거부한 청와대가 과연 접점을 찾을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한편 이인영 신임 민주당 원내대표가 진용을 꾸리고 본격적으로 당 주도성을 강조하고 나섰는데요.

정치권 이슈, 김성완 시사평론가, 바른미래당 이준석 최고위원 함께합니다.

<질문 1> 청와대가 한국당의 1대1 회담 역제안에 수정안을 내놨어요. '먼저 여야 5당 대표 회동 이후 1대1 회담'을 하자는 건데요. 청와대의 급격한 기류 변화 이유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1-1> 다시 공을 넘겨받은 한국당이 과연 5당 대표 회동 후 일대일 회동하자는 청와대 카드를 받을까요?

<질문 2> 진용을 모두 갖추고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간 이인영 원내대표, 당 주도성을 높이겠다고 강조하고 나섰는데요. 총선을 1년 앞둔 상황에서 당정청 관계 어떻게 변화하게 될까요?

<질문 2-1> 이와 함께 기강잡기 분위기도 감지됩니다. 당정청 모임에서 이 원내대표와 김수현 정책실장이 마이크가 켜진 줄 모르고 속내를 밝힌 건데요. 공무원들이 집권 2주년이 아니라 4주년 같다고 지적한 겁니다. 여기에 대한 두 분의 한줄평 부터 들어볼까요?

<질문 2-2> 이틀뒤로 다가온 버스 파업에 대해서도 이야기가 나왔는데요. "국토부에서 이상한 짓을 많이 해"라고 언급했습니다. 당장 정책은 당청이 주도하는건데 공무원 탓을 하는 게 맞느냐는 이야기도 나오는데요?

<질문 2-3> 뒤늦게 마이크를 인지하고 대화를 중단하긴 했는데요. 박지원 의원이나, 김관영 원내대표는 "스스로 레임덕을 인정한 것"이라고 지적합니다. 이 부분은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3> 나경원 원내대표가 문 대통령의 지지층 가운데 여성을 비하한 부적절한 표현을 사용해 논란이 커지고 있습니다. 나 원내대표는 "모르고 썼다"지만 정치권에서는 사고냐, 의도냐 해석이 엇갈립니다. 두 분은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3-1> 나 원내대표가 사과했지만 후폭풍이 계속되고 있는데요. 최근 나 원내대표의 '대변인, 반민특위' 발언들이 과연 우연이냐 이런 이야기까지 나옵니다. 두 분은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3-2> 이준석 위원은 "발언 수위가 높아지길 바라는, 돕는 누군가가 있다"는 지적을 하셨는데요. 어떤 의미입니까?

<질문 3-3> 최근 한국당 의원들의 강성발언이 유독 잦습니다. 김무성 의원의 청와대 폭파 발언 뿐 아니라 5·18을 둘러싼 발언들이 연달아 논란이 되기도 했고요. 독설이 주는 정치적 이득이 있다고 보십니까?

<질문 4> 민주평화당은 새 원내대표로 유성엽 의원을 선출했고요. 이틀뒤 치러지는 바른미래당에서는 오신환-김성식 의원의 2파전입니다. 이준석 위원 일단 경선이 아닌 합의추대 이야기도 계속 나오던데 어떻게 정리되는 겁니까?

<질문 4-1> 오신환-김성식 의원이 패스트트랙 정국에서는 반대진영이었지만요. 현재는 두 후보 모두 "사보임 조치 원상복귀"를 공약했는데요. 패스트트랙에 미칠 영향은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ADVERTISEMENT

이 기사 어떠셨나요?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