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포커스] 한미정상 전화통화…비핵화 협상 재개 방안 논의

<출연 : 우정엽 세종연구소 미국 연구 센터장ㆍ김열수 한국군사문제연구원 안보전략실장>

문재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이 어젯밤 전화 통화를 하고 북한이 비핵화를 위한 궤도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긴밀히 협조하기로 했습니다.

또 트럼프 대통령은 문 대통령의 인도적 차원의 대북 식량 지원 제시에 대해 시의적절하다고 평가했습니다.

스티븐 비건 미 국무부 대북특별대표가 오늘 오후 방한해 북미 간 대화 재개 방안을 논의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관련 내용들, 우정엽 세종연구소 미국 연구 센터장, 김열수 한국군사문제연구원 안보전략실장과 짚어보겠습니다.

어서 오십시오.

<질문 1> 문재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이 어젯밤 전화 통화를 통해 지난주 북한이 발사한 발사체에 대한 양국의 입장을 전달하고, 대응 방향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는데요. 북한의 발사체를 어떻게 규정할 것인지 주목됐는데, 직접적으로 규정하는 것은 유보했어요. 북한이 대화 궤도 이탈을 하지 않도록 하자는데도 공감했죠. 통화 내용, 어떻게 보고 계십니까?

<질문 1-1> 어제 문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대북식량지원 카드를 제시했다고 해요. 이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도 지지한다고 밝혔는데요. 대북 식량지원 가능할까요?

<질문 2> 한편 미국의 한 인터넷 언론 매체가 폼페이오의 발언 중 "ICBM이 아니어서 괜찮다"라고 한 것이 실수라고 보도했는데요. 북한에 추가 도발 여지를 줬다는 겁니다. 이는 해석하기에 따라서 ICBM만 아니면 괜찮다, 이렇게 해석될 여지도 있거든요? 어떻게 보시나요?

<질문 3> 어제 국방부가 북한의 발사체를 쏜 것에 대해 "남북 군사 합의 위반은 아니나 취지에는 어긋난다"는 입장을 밝혔는데요. 동해상이 아니라 대륙을 향했다면 우리 군으로서는 확실히 경고할 수 있는 부분 아니겠습니까? 우리 군의 대응, 어떻게 평가하세요?

<질문 4> 스티븐 비건 미국 대북특별대표가 오늘 오후 한국을 찾아, 최근 북한 무력시위에 대한 평가를 공유하고 향후 대응책을 조율할 전망인데요. 우리 협의를 하고 다시 북측과 대화할 가능성, 어떻게 보세요.

<질문 5> 비건이 김연철 통일부 장관을 만나고 싶다고 했다죠. 오늘 김연철 장관이 개성에 있는 남북연락사무소를 방문합니다. 취임 후 첫 방북 일정인데요. 사실상 하노이 결렬 이후 남북 교류가 사실상 올스톱 상태인데요. 연락사무소 정상화 모색하러 가는 걸까요?

<질문 6> 북한의 발사차 발사 이후 다음 행동에 관심입니다. 김 위원장은 발사체 발사 이후 과학기술발전 총력을 기울이라고 독려하고, 북한 매체들은 한미연합훈련을 연일 비난하고 있습니다.

<질문 7> 내일모레면 문 대통령 취임 2년을 맞습니다. 북미가 기 싸움을 계속하고 있는 가운데, 중재 역할을 맡은 고민이 클 것 같은데요. 문 대통령 취임 2년을 맞아 외교·안보 평가와 전망, 한 마디씩 부탁드립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ADVERTISEMENT

이 기사 어떠셨나요?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