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대북정책 '시험대'…미 의회 '강경론'

[앵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북한의 발사체 발사에 일단 맞대응을 자제하고 있지만 속내는 복잡해 보입니다.

미 언론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대북 관여 정책이 시험대에 올랐다고 분석하고 있는데요.

미 의회에서도 대북 강경론이 재점화하고 있습니다.

워싱턴에서 윤석이 특파원입니다.

[기자]



"북한이 새로운 단거리 미사일을 시험하면서 트럼프 대통령의 의지도 함께 시험 됐다."

미국 AP통신은 6일 "트럼프 행정부가 북한의 협상 복귀를 위해 절치부심하는 동안에도 북한의 미사일은 계속 향상되고 있었다"며 이같이 보도했습니다.

미 행정부가 "아직 레드라인을 넘지 않았다"며 신중히 대응하고 있지만, 고민은 깊어질 수밖에 없다는 것입니다.

<마이크 폼페이오 / 미 국무장관> "우리는 지난 주말 있었던 이번 행동이 (비핵화 약속)을 방해하지는 않길 희망합니다. 우리는 협상 테이블로 돌아와 대화를 이어가길 원하고 있습니다."

미 의회 내에서도 비핵화 협상 회의론과 함께 대북 강경론이 재점화하는 모습입니다.

공화당 상원 외교위 코리 가드너 의원은 자신이 입법한 '대북제재 정책 강화법'을 거론하며 "완전한 비핵화를 평화적으로 달성하려면 최대 압박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민주당 에이미 클로버샤 상원의원은 트럼프 대통령의 '트윗 외교'를 비판하면서 북한 억류 후 사망한 "오토 웜비어 어머니의 목소리를 들어야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신디 웜비어 / 사망한 오토 웜비어의 모친> "북한에 대한 압박을 유지하지 않는다면 그들은 변화하지 않을 겁니다. 우리가 압박을 거두려고 하는 것인지 몹시 두렵습니다."

북한이 비록 단거리 발사체로 수위를 조절했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의 핵·미사일 실험 유예를 외교적치적으로 강조해왔던 만큼 북미대화도 당분간 더욱 경색될 것이란 우려가 나옵니다.

워싱턴에서 연합뉴스TV 윤석이입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ADVERTISEMENT

이 기사 어떠셨나요?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