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단 화재에 멈춰 선 ESS…업계 피해 확산

[앵커]

지난해 잇따라 발생한 에너지저장장치, ESS 화재 사고 기억하실 겁니다.

아직까지 화재 원인이 오리무중인데요.

그 여파로 상당수 ESS 시설의 가동과 신규 발주가 멈추면서 관련 업계의 피해가 커지고 있습니다.

정부는 다음달 화재 원인 조사 결과와 대책을 발표하기로 했습니다.

윤선희 기자입니다.

[기자]

ESS는 태양광이나 풍력 등으로 생산한 전기를 저장했다가 필요할 때 공급하는 장치로, 신재생에너지 확대에 필수적입니다.



미래 신성장동력 가운데 하나로 꼽히지만 지난해 5월 이후 20건의 ESS 화재사고가 발생하면서 안전성에 의문이 제기된 상태입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민관 합동 조사위원회를 만들어 5개월째 조사하고 있지만 화재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잇단 화재 여파로 올해 1월부터 공장용 ESS 시설의 가동도 전면 중단된 상태입니다.

지난달 30일 기준 전국 ESS 시설 1천490곳 중 35%인 522곳이 가동을 멈췄고, 올해 ESS 신규 발주 건수도 지난달까지 한 건도 없었습니다.

산업용 배터리 등을 생산하는 ESS 관련 업체들의 피해도 커지고 있습니다.

삼성SDI의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은 1,299억원으로, 전 분기의 절반 수준으로 줄었고, LG화학은 1분기 가동손실 보상을 위한 충당금 설정과 수주 중단 등 ESS 관련 기회손실만 1,200억원으로 추산했습니다.

이처럼 ESS 관련 업계의 피해가 커지는 가운데 산업부는 다음달 초 화재사고 조사 결과를 발표할 계획입니다.

<이귀현 / 산업통상자원부 제품안전정책과장> "기업들 의견을 받아서 시험 실증 항목을 정해서 실증 중이고, 6월 초에 사고 원인 조사 결과를 발표할 예정입니다."



산업부는 ESS 신규 사업장에 대한 한국산업표준 인증 등 안전기준 강화도 내놓기로 했습니다.



연합뉴스TV 윤선희입니다.

indigo@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ADVERTISEMENT

이 기사 어떠셨나요?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