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국무부 "유해송환, 돈 오가지 않아"…후속협상 동력 주목
[앵커]
미 국무부는 북한의 미군 전사자 유해 송환과 관련해 "어떠한 돈도 오가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북한의 요구도 없었다고 덧붙였는데요.
북미간 비핵화 협상의 동력으로 작용할 지 주목됩니다.
워싱턴에서 윤석이 특파원입니다.
[기자]
미 국무부는 29일 북한의 미군 전사자 유해 송환과 관련해 "북한이 금전을 요구하지 않았고, 어떠한 돈도 오가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국무부는 "미국의 법규는 북한 또는 어느 나라든 유해 발굴과 관련한 경비에 대해 배상할 수 있다"면서이같이 밝혔습니다.
미국은 1990년부터 2005년 사이 북한으로부터 약 600여구로 추정되는 유해를 돌려받는 과정에서 실비 차원으로 2천200만 달러, 약 247억 원을 지급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미국내에서는 북미정상회담에서 유해 송환을 합의하고도 작업이 늦어지자 북한이 현금 보상을 요구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일부 제기돼왔습니다.
북한이 이번에 유해를 송환하면서도 금전을 요구하지 않은 것은 북미정상회담 합의에 대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실천 의지를 강조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 "나는 김정은 위원장이 그의 약속을 지키고 있는 데 감사를 표하고 싶습니다."
북미정상회담 이후 지지부진한 한반도 비핵화 협상과 평화구축 논의에 동력으로 작용할 수 있을 지도 주목됩니다.
다만 일각에서는 미군 전사자 유해를 대가없이 송환한 만큼 종전선언 등 이에 상응하는 체제안전 보장조치를 미국에 요구한 것이란 해석도 나옵니다.
북한이 유해송환과 관련해 공식 언급이 없는 가운데 미 국방부는 유해 발굴을 위해 북한에 인력을 파견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워싱턴에서 연합뉴스TV 윤석이입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앵커]
미 국무부는 북한의 미군 전사자 유해 송환과 관련해 "어떠한 돈도 오가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북한의 요구도 없었다고 덧붙였는데요.
북미간 비핵화 협상의 동력으로 작용할 지 주목됩니다.
워싱턴에서 윤석이 특파원입니다.
[기자]
미 국무부는 29일 북한의 미군 전사자 유해 송환과 관련해 "북한이 금전을 요구하지 않았고, 어떠한 돈도 오가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국무부는 "미국의 법규는 북한 또는 어느 나라든 유해 발굴과 관련한 경비에 대해 배상할 수 있다"면서이같이 밝혔습니다.
미국은 1990년부터 2005년 사이 북한으로부터 약 600여구로 추정되는 유해를 돌려받는 과정에서 실비 차원으로 2천200만 달러, 약 247억 원을 지급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미국내에서는 북미정상회담에서 유해 송환을 합의하고도 작업이 늦어지자 북한이 현금 보상을 요구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일부 제기돼왔습니다.
북한이 이번에 유해를 송환하면서도 금전을 요구하지 않은 것은 북미정상회담 합의에 대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실천 의지를 강조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 "나는 김정은 위원장이 그의 약속을 지키고 있는 데 감사를 표하고 싶습니다."
북미정상회담 이후 지지부진한 한반도 비핵화 협상과 평화구축 논의에 동력으로 작용할 수 있을 지도 주목됩니다.
다만 일각에서는 미군 전사자 유해를 대가없이 송환한 만큼 종전선언 등 이에 상응하는 체제안전 보장조치를 미국에 요구한 것이란 해석도 나옵니다.
북한이 유해송환과 관련해 공식 언급이 없는 가운데 미 국방부는 유해 발굴을 위해 북한에 인력을 파견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워싱턴에서 연합뉴스TV 윤석이입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