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감소로 2분기 성장률 0.7%…소비ㆍ수출 둔화
[앵커]
2분기 경제성장률이 다시 0%대로 떨어졌습니다.
투자가 역성장을 하는 등 크게 부진했고, 소비와 수출도 둔화됐습니다.
한국은행은 3분기와 4분기에 0.8~0.9% 성장을 유지하면 연 2.9%는 달성할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박진형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우리 경제 2분기 성장률이 0.7%로 잠정 집계됐습니다.
작년 4분기 마이너스 0.2%를 기록한 이후 올해 1분기 1.0%로 확대했다가 다시 0%대로 줄어든 겁니다
미국발 무역전쟁 확산과 기준금리 인상, 최저임금 상승 등 대내외 요인으로 내수가 위축된 양상입니다.
건설·설비투자등 투자부문이 역성장으로 꺾였습니다.
건설투자 증가율은 1분기 1.8%에서 2분기 -1.3%로 마이너스 전환했고, 설비투자 증가율도 1분기 3.4%에서 이번 분기 -6.6%로 큰 폭으로 뒷걸음질 쳤습니다.
지식재산생산물투자도 0.7% 감소해 2012년 4분기 이후 가장 낮은 성장률을 기록했습니다.
1분기 성장을 주도한 민간소비는 둔화했습니다.
민간소비는 0.3% 늘어 2016년 4분기 이후 1년 반 만에 최저를 기록했고, 정부소비도 0.3% 증가로 2015년 1분기 이후 가장 낮았습니다.
그동안 경제성장률을 견인한 수출도 0.8% 성장에 그쳤습니다.
한국은행은 2분기 0.7% 성장은 잠재수준 성장을 기록하고 있기 때문에 견조한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3분기와 4분기에 0.82~0.94% 성장을 유지한다면 연 2.9% 성장이 가능할 것이란 겁니다.
하지만 미국과 중국간 무역분쟁이 전세계 보호무역주의 강화로 이어지는 등 우리나라에 악영향을 미칠 대내외 변수때문에 낙관할 수 없다는 지적입니다.
연합뉴스TV 박진형입니다
jin@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앵커]
2분기 경제성장률이 다시 0%대로 떨어졌습니다.
투자가 역성장을 하는 등 크게 부진했고, 소비와 수출도 둔화됐습니다.
한국은행은 3분기와 4분기에 0.8~0.9% 성장을 유지하면 연 2.9%는 달성할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박진형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우리 경제 2분기 성장률이 0.7%로 잠정 집계됐습니다.
작년 4분기 마이너스 0.2%를 기록한 이후 올해 1분기 1.0%로 확대했다가 다시 0%대로 줄어든 겁니다
미국발 무역전쟁 확산과 기준금리 인상, 최저임금 상승 등 대내외 요인으로 내수가 위축된 양상입니다.
건설·설비투자등 투자부문이 역성장으로 꺾였습니다.
건설투자 증가율은 1분기 1.8%에서 2분기 -1.3%로 마이너스 전환했고, 설비투자 증가율도 1분기 3.4%에서 이번 분기 -6.6%로 큰 폭으로 뒷걸음질 쳤습니다.
지식재산생산물투자도 0.7% 감소해 2012년 4분기 이후 가장 낮은 성장률을 기록했습니다.
1분기 성장을 주도한 민간소비는 둔화했습니다.
민간소비는 0.3% 늘어 2016년 4분기 이후 1년 반 만에 최저를 기록했고, 정부소비도 0.3% 증가로 2015년 1분기 이후 가장 낮았습니다.
그동안 경제성장률을 견인한 수출도 0.8% 성장에 그쳤습니다.
한국은행은 2분기 0.7% 성장은 잠재수준 성장을 기록하고 있기 때문에 견조한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3분기와 4분기에 0.82~0.94% 성장을 유지한다면 연 2.9% 성장이 가능할 것이란 겁니다.
하지만 미국과 중국간 무역분쟁이 전세계 보호무역주의 강화로 이어지는 등 우리나라에 악영향을 미칠 대내외 변수때문에 낙관할 수 없다는 지적입니다.
연합뉴스TV 박진형입니다
jin@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ADVERTISEMENT
이 기사 어떠셨나요?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