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 증평모녀' 막는다…35만명 시민도우미 양성

[앵커]

'송파 세 모녀', 또 '증평 모녀' 사건이라고 기억하시죠.

사회 안전망의 한계가 드러났던 사건입니다.

이런 사건이 터질 때마다 빈곤 외에 이웃과의 단절 등 다양한 위기 요인에도 주목해야 한다는 비판이 제기됐었습니다.

정부가 이런 목소리를 수렴해 대책을 발표했습니다.

김지수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 4월 발생한 '증평 모녀 사망' 사건.

증평 모녀는 사망한 지 두달이 넘도록 이웃이나 행정기관에서 알지 못했습니다.

정부가 '증평 모녀' 사건을 계기로 새로운 사회적 위험에 대응하기 위한 위기가구 발굴 대책을 마련했습니다.

새로운 사회적 위험이란 실직, 질병 등으로 인한 가족 해체와 사회적 고립 위험 증가를 뜻합니다.

보건복지부는 복지 사각지대를 찾아내기 위해 명예공무원을 양성하기로 했습니다.

<배병준 / 보건복지부 사회복지정책실장> "명예사회복지공무원을 2022년까지 전국 읍면동당 평균 100명 수준인 35만명으로 확대해나갈 계획입니다."

동네 통장과 이장, 아파트 관리자, 수도·가스 검침원 등으로 구성되는 명예공무원을 2022년까지 35만명 양성한다는 계획입니다.

이들은 복지 사각지대에 있는 이웃을 방문해 안부를 확인하고 복지에 대한 욕구를 파악하는 등의 역할을 합니다.

기존의 복지정책과 다른 건 동네 사정에 밝은 이들이 위기가구를 돌본다는 겁니다.

또 주민센터의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를 확대합니다.

2022년까지 사회복지·간호직 공무원 1만5,500명을 추가로 고용해 지역 주민을 찾아가 상담하고 필요한 서비스를 연계해줍니다.

복지부는 자살 유가족 등 고위험군에 대해서도 전문 상담과 자살 예방 교육 등을 실시한다는 방침입니다.

연합뉴스TV 김지수입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