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미정상회담 합의 이행 첫발…비핵화 협상은 어떻게?

[앵커]

북미가 미군 유해 송환에 큰틀에서 합의하면서 북미정상회담 합의 이행은 첫발을 떼게 됐습니다.

이제 관심은 비핵화 협상이 될 것으로 보이는데요.

이봉석 기자입니다.

[기자]

북미 정상은 6·12 회담을 통해 새로운 관계 수립과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체제 구축 노력, 완전한 비핵화, 미군 유해 송환 등에 합의했습니다.

한달이 넘도록 다른 합의 내용에 눈에 띄는 진전이 없는 상황에서 북미가 유해 송환을 행동에 옮기기로 뜻을 모은 것은 합의 이행의 첫걸음을 내딛은 것으로 평가됩니다.

앞으론 북미 관계 및 평화체제 구축과도 연동되는 비핵화 협상의 향배에 어느 때보다 관심이 쏠릴 전망입니다.

최근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의 3차 방북이 '빈손 귀국' 논란을 불러오긴 했지만 북미 모두 협상의 동력을 잃지 않기 위해 애쓰고 있습니다.

이도훈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최근 미국 방문 기간 "미국은 국무부를 중심으로 협상팀이 꾸려지고 있다"며 "북미 간 후속협상이 곧 개최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협상에선 북한이 북미간 신뢰 구축을 위한 첫 단추로 요구하는 종전선언 문제가 쟁점으로 떠오를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비핵화 협상은 미국의 당초 목표와 달리 장기전으로 흐르는 분위기가 역력합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북한의 비핵화가 바라는 것보다 더 긴 과정이 될 수 있다"고 말했고 문재인 대통령도 싱가포르 순방 중 비슷한 언급을 했습니다.

<문재인 / 대통령> "결코 순탄치 않은 길이지만 정상 간 합의를 진정성 있게 이행해 나간다면 분명히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입니다."

결국 관건은 얼마나 빨리 북한이 비핵화 이행방안을 구체화하고 미국이 반대급부를 제시하느냐의 여부라는 분석입니다.

연합뉴스TV 이봉석입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ADVERTISEMENT

이 기사 어떠셨나요?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