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성 논란 학생부 개선…소논문 항목 삭제
[앵커]
학교생활기록부 기재 항목이 큰 틀에서 현행대로 유지될 예정입니다.
다만 사교육을 유발한다는 지적을 받아온 소논문 항목은 삭제될 것으로 보이는데요.
시민참여단이 숙의하고 교육부에 권고한 내용들, 강은나래 기자가 살펴봤습니다.
[기자]
교육부는 학생부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시민정책참여단의 권고안을 공개했습니다.
100명의 시민이 합숙회의와 끝장토론 끝에 도출한 결과입니다.
사교육 유발 지적을 받는 소논문 항목을 빼는데 참여단 3 분의 2 이상이 찬성했습니다.
창의적 체험활동 특기사항 기재 분량을 절반 가까이 줄이자는데도 합의했습니다.
하지만 다른 많은 항목들은 보완·유지하기로 했습니다.
'상 몰아주기' 논란이 이는 수상경력은 기재하되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자율동아리 항목도 가입을 제한하거나 객관적 사항만 적도록 했습니다.
세부능력·특기사항과 봉사실적도 계속 기재하도록 했습니다.
정책숙려제 1호 안건이라는 상징성에도 큰 틀에서 기존 방식을 따르면서 구체적인 대안은 내놓지 못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앞서 진보교육단체는 숙려 과정에 교육부 외압설을 주장했고, 결과에 환영한 보수단체도 논의 공정성 확보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해 일부 후유증도 예상됩니다.
<김태훈 / 교육부 정책기획관> "이견이 발생을 했을 때 별도의 공론화 절차와 원칙과 프로세스 부분을 논의할 수 있는 운영주체가 별도로 있어야 되겠다. 추진운영위원회를 두번째 공론화 과정부터는 마련할…"
교육부는 권고안을 토대로 이달 말까지 개선안을 확정해 다음달 대입제도 개편안과 함께 발표합니다.
개선안은 내년부터 연차적으로 적용될 전망입니다.
연합뉴스TV 강은나래입니다.
rae@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앵커]
학교생활기록부 기재 항목이 큰 틀에서 현행대로 유지될 예정입니다.
다만 사교육을 유발한다는 지적을 받아온 소논문 항목은 삭제될 것으로 보이는데요.
시민참여단이 숙의하고 교육부에 권고한 내용들, 강은나래 기자가 살펴봤습니다.
[기자]
교육부는 학생부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시민정책참여단의 권고안을 공개했습니다.
100명의 시민이 합숙회의와 끝장토론 끝에 도출한 결과입니다.
사교육 유발 지적을 받는 소논문 항목을 빼는데 참여단 3 분의 2 이상이 찬성했습니다.
창의적 체험활동 특기사항 기재 분량을 절반 가까이 줄이자는데도 합의했습니다.
하지만 다른 많은 항목들은 보완·유지하기로 했습니다.
'상 몰아주기' 논란이 이는 수상경력은 기재하되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자율동아리 항목도 가입을 제한하거나 객관적 사항만 적도록 했습니다.
세부능력·특기사항과 봉사실적도 계속 기재하도록 했습니다.
정책숙려제 1호 안건이라는 상징성에도 큰 틀에서 기존 방식을 따르면서 구체적인 대안은 내놓지 못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앞서 진보교육단체는 숙려 과정에 교육부 외압설을 주장했고, 결과에 환영한 보수단체도 논의 공정성 확보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해 일부 후유증도 예상됩니다.
<김태훈 / 교육부 정책기획관> "이견이 발생을 했을 때 별도의 공론화 절차와 원칙과 프로세스 부분을 논의할 수 있는 운영주체가 별도로 있어야 되겠다. 추진운영위원회를 두번째 공론화 과정부터는 마련할…"
교육부는 권고안을 토대로 이달 말까지 개선안을 확정해 다음달 대입제도 개편안과 함께 발표합니다.
개선안은 내년부터 연차적으로 적용될 전망입니다.
연합뉴스TV 강은나래입니다.
rae@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ADVERTISEMENT
이 기사 어떠셨나요?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