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에 피해 전가"…美 '무역전쟁' 반발 확산
[앵커]
미 행정부가 중국산 제품에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기로 한데 대해 미국내 반발 여론이 확산하고 있습니다.
무역전쟁의 피해가 결국 소비자에게 전가될 것이란 우려입니다.
워싱턴에서 이해아 특파원입니다.
[기자]
미국 소매산업지도자협회는 미 정부가 중국산 제품에 추가 관세를 부과하기로 한데 "중국에 최대한의 고통을 주고, 소비자에게는 최소한의 고통을 주겠다는 약속을 깼다"고 즉각 비판했습니다.
관세 부과 대상 목록에 첨단 분야나 중간 제품 외에도 의류와 냉장고, 애완동물 사료 등 소비재가 광범위하게 포함됐다는 겁니다.
트럼프 행정부에 우호적이었던 미 상공회의소도 "관세는 명백한 세금"이라며 "미국의 가정, 농부, 노동자들이 일상에서 소비하는 물품의 가격이 인상될 것"이라고 반대했습니다.
<게리 록 / 전 미국 상무장관> "우리(미국)는 무역에 매우 의존적인 국가입니다. 그리고 수출품의 매우 큰 부문이 중국으로 가고 있습니다. 따라서 관세는 분명히 미국 제품을 더 비싸게 만들 것입니다."
미국 정가에서도 미 행정부의 추가 관세 부과로 중국과의 무역 전쟁이 확산할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미 상원 오린 해치 재무위원장은 "중국의 무역관행을 외면할 수 없다"면서도 "무모하고, 목표를 겨냥한 접근 방식이 아니라"고 지적했습니다.
클린턴 행정부 시절 재무장관을 지낸 로런스 서머스는 "미국 근로자의 구매력과 기업 경쟁력을 떨어뜨리는 이보다 더한 정책을 상상하기 어렵다"고 비판했습니다.
미 하원 세입위원회 케빈 브래디 위원장은 성명을 통해 "미국과 중국이 장기적인 무역 전쟁으로 가거나 운동장을 평편하게 하는 합의를 도출해야한다"며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주석의 담판을 촉구했습니다.
워싱턴에서 연합뉴스 이해아 입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앵커]
미 행정부가 중국산 제품에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기로 한데 대해 미국내 반발 여론이 확산하고 있습니다.
무역전쟁의 피해가 결국 소비자에게 전가될 것이란 우려입니다.
워싱턴에서 이해아 특파원입니다.
[기자]
미국 소매산업지도자협회는 미 정부가 중국산 제품에 추가 관세를 부과하기로 한데 "중국에 최대한의 고통을 주고, 소비자에게는 최소한의 고통을 주겠다는 약속을 깼다"고 즉각 비판했습니다.
관세 부과 대상 목록에 첨단 분야나 중간 제품 외에도 의류와 냉장고, 애완동물 사료 등 소비재가 광범위하게 포함됐다는 겁니다.
트럼프 행정부에 우호적이었던 미 상공회의소도 "관세는 명백한 세금"이라며 "미국의 가정, 농부, 노동자들이 일상에서 소비하는 물품의 가격이 인상될 것"이라고 반대했습니다.
<게리 록 / 전 미국 상무장관> "우리(미국)는 무역에 매우 의존적인 국가입니다. 그리고 수출품의 매우 큰 부문이 중국으로 가고 있습니다. 따라서 관세는 분명히 미국 제품을 더 비싸게 만들 것입니다."
미국 정가에서도 미 행정부의 추가 관세 부과로 중국과의 무역 전쟁이 확산할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미 상원 오린 해치 재무위원장은 "중국의 무역관행을 외면할 수 없다"면서도 "무모하고, 목표를 겨냥한 접근 방식이 아니라"고 지적했습니다.
클린턴 행정부 시절 재무장관을 지낸 로런스 서머스는 "미국 근로자의 구매력과 기업 경쟁력을 떨어뜨리는 이보다 더한 정책을 상상하기 어렵다"고 비판했습니다.
미 하원 세입위원회 케빈 브래디 위원장은 성명을 통해 "미국과 중국이 장기적인 무역 전쟁으로 가거나 운동장을 평편하게 하는 합의를 도출해야한다"며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주석의 담판을 촉구했습니다.
워싱턴에서 연합뉴스 이해아 입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ADVERTISEMENT
이 기사 어떠셨나요?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