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눈에 쏙! 지방선거] 심판론부터 줄투표까지…법칙 이번에도 통할까

[앵커]

6·13 지방선거를 앞두고 궁금한 점이 참 많으실텐데요.

연합뉴스TV는 앞으로 2주간 시청자 여러분들에게 깊이 있는 선거 분석을 제공하는 '한 눈에 쏙! 지방선거' 코너를 마련했습니다.

첫 회로 역대 지방선거에 통용되던 선거 법칙을 짚어보겠습니다.

강민경 기자입니다.

[기자]

'지방선거는 야권이 유리하다.'

정치권에서 통용되는 법칙 중 하나입니다.

대선, 총선과 교차되며 치러지는 지방선거의 시기성과 맞물려 현 정권에 대한 '중간평가'적 성격이 강하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최근인 2014년 6월 지방선거에서 박근혜 정부 임기 2년차였던 새누리당은 제1야당인 민주당에게 광역단체장 한 석 차이로 패배했습니다.

반대로 2006년 지방선거에선 야당인 한나라당이 여당인 열린우리당을 완파하고 전국 표밭을 싹쓸이했습니다.

그러나 단 한 차례 예외가 있었습니다.

김대중 정부 취임 100일만에 치러졌던 1998년 지방선거였습니다.

당시 여권은 광역단체장 16곳 중 10곳을 확보했습니다.

사상 첫 정권교체를 이룬 시기였던만큼 지난 정권에 대한 심판론이 오히려 강하게 작용했다는 분석입니다.

과연 이번 선거는 어떨까요?

정치권에서는 1998년 지방선거와 비슷한 선거 구도가 형성됐다는 관측이 많습니다.

일단 집권 만 1년을 갓 넘긴 문재인 대통령의 지지율이 70%대를 가뿐히 넘습니다.

숨가쁘게 진행되는 남북미 정상회담 움직임도 현재까진 여당에게 유리합니다.

반대로 정권을 내준 야당은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여파에서 벗어나지 못했고 이명박 전 대통령도 구치소에 수감중입니다.

다만 개표함을 열어보기 전엔 알 수 없는 게 투표입니다.

야권은 문재인 정부의 경제 정책을 문제삼으며 '중간 평가'를 호소합니다.

숨어 있는 '샤이 보수'층이 얼마나 될지도 변수입니다.

기초단체장과 기초의원 선거 등에게는 조금 독특한 법칙이 적용됩니다.

바로 '묻지마 줄투표' 법칙인데요.

유권자들이 광역단체장과 같은 정당의 후보들에게 표를 몰아주는 현상을 말합니다.

전문가들은 바람직한 현상이 아니라 지적하지만 줄투표의 위력은 여러 차례 입증됐습니다.

2002년 이명박 후보가 승리한 당시 한나라당은 22곳의 구청장 선거를 휩쓸었습니다.

2006년 오세훈 후보 당선 때에는 25개 구청장 자리를 모두 독차지했습니다.

물론 예외도 있었습니다.

오세훈 후보가 재당선된 2010년에는 민주당이 21곳 구청장을 석권했는데 민주당 한명숙 후보와의 피말리는 접전 때문이라는 해석이 나옵니다.

중간평가 법칙과 심판론, 그리고 줄투표까지.

이번엔 어느 법칙이 적용될지 알 수 없지만 결국 결과를 만드는 건 유권자의 소중한 한 표입니다.

이번 지방선거만큼은 지방자치의 성패가 유권자의 손 끝에 달려있다는 절대적 '법칙'이 맨 앞에 자리잡아야 할 겁니다.

지금까지 '한 눈에 쏙! 지방선거'였습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ㆍ제보)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