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남ㆍ북ㆍ미 파격 행보에 셈법 복잡해져

[앵커]

이제 중국의 속내는 더욱 복잡해졌습니다.

최근 두 차례 북중정상회담으로 막강한 대북 영향력을 과시했지만 반전을 거듭하는 미국과 한국의 파격적 행보에 셈법이 한층 복잡해졌다는 분석입니다.

베이징에서 심재훈 특파원입니다.

[기자]

중국은 제2차 남북정상회담 개최를 환영하고 향후 북미정상회담 성공을 위해서도 적극 협조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루캉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북미지도자의 직접 접촉과 대화가 한반도 문제를 해결하는 관건"이라면서 중국은 한반도 문제에서 계속 적극적이고 건설적 역할을 발휘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중국의 속내는 복잡해졌다는 관측이 적지 않습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최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연쇄 정상회담을 갖는 등 대북 영향력 확대에 다시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북한 노동당 참관단을 초청해 대규모 경협까지 제시하기도 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의 최근 강경행보 배경에 중국이 있다고 의심한 배경입니다.

일부 외신은 중국이야말로 북미정상 회담 취소의 최대수혜자로 꼽기도 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남북이 기습적으로 2차 정상회담을 하고 북미정상회담에 재시동이 걸림에 따라 중국의 셈법은 예전보다 더욱 복잡해졌다는 관측이 나옵니다.

문재인 대통령이 남북정상회담 결과를 설명하면서 거론한 '남북미 정상회담을 통한 종전선언'의 배경에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종전선언으로 가는 과정에서 중국이 배제될 가능성이 커졌다는 의미로도 해석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중국 정부는 긴급회의를 열고 향후 대응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베이징에서 연합뉴스 심재훈입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ㆍ제보)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ADVERTISEMENT

이 기사 어떠셨나요?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