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포커스] 북한, '맥스선더' 맹비난…남북고위급회담 중지 통보
<출연 : 임성준 전 청와대 외교안보수석·전현준 우석대학교 초빙교수>
북한이 한국과 미국 공군의 대규모 연합공중훈련인 맥스선더 훈련을 맹비난하며 오늘로 예정됐던 남북고위급회담을 무기한 연기한다고 통보했습니다.
이와 함께 미국은 수뇌 상봉 운명을 숙고해야 한다는 경고성 발언도 내놓아 향후 북미정상회담 일정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관련 내용 임성준 전 청와대 외교안보수석, 전현준 우석대학교 초빙교수와 짚어보겠습니다.
어서 오십시오.
<질문 1> 북한이 맥스선더 훈련을 이유로 들면서 오늘로 예정됐던 남북고위급회담을 무기한 연기하겠다고 했습니다. 오전 10시로 예정된 고위급회담 시작 시각을 채 10시간도 남겨놓지 않은 시점이었는데요. 맥스선더 훈련이 예고 없이 실시되는 것도 아닌데, 북한이 갑자기 왜 이런 결정을 내렸을까요?
<질문 1-1> 북한은 미국도 북미정상회담 운명을 심사숙고해야 한다. 이런 경고성 발언을 했습니다. 최근 핵폐기 방식을 놓고 북미 간에 의견 차이를 보였는데 이에 대한 반발이라고 볼 수 있을까요?
<질문 1-2> 북미정상회담이나 풍계리 핵실험장 폐기에 차질이 생기는 건 아닌가 하는 우려가 드는데요?
<질문 2> 북한의 속내가 무엇인지 헷갈리는 게, 북한이 우리 정부에 고위급회담 취소를 통보할 때와 비슷한 시각에 제네바 주재 UN 북한대사가 핵무기 실험 금지 노력에 참여할 계획이다, 라고 밝혔거든요. 이건 어떻게 봐야 할까요?
<질문 3> 북한이 북미정상회담에서 비밀 우라늄 농축시설 1~2곳의 존재를 공표하고 사찰에 응하겠다는 뜻을 밝힐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비밀 우라늄 농축시설을 공개한다는 것, 어떤 의미인가요?
<질문 4> 미국의 북한전문매체 38노스는 풍계리 핵실험장 현장에서 폐기 절차가 이미 시작됐다고 분석했습니다. 하지만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풍계리 핵실험장 폐기 뒤에 숨은 허점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북한의 '임계전 핵실험' 능력 때문인데요. 먼저 '임계전 핵실험'에 대해 설명 좀 부탁드립니다.
<질문 4-1> 임계전 핵실험이 가능하다면 CVID는 달성할 수 없는 것 아닌가요?
<질문 5> 폼페이오 국무장관이 한 인터뷰에서 북한이 미국 본토로 핵무기를 발사하는 것을 막는 것이 미국의 목표라는 발언을 했습니다. 이를 두고 트럼프 행정부의 대북 협상 목표가 모든 핵무기 제거에서 미국 본토 방어로 한발 물러선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고 있는데요.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6> 최근 한국과 미국에서 주한미군 감축 논란이 제기됐는데요. 미 의회가 의회 승인 없이는 주한미군 규모를 2만2,000명 이하로 감축할 수 없도록 하는 내용이 담긴 법안을 통과시켰습니다. 이를 두고 트럼프 정부가 북미정상회담에서 주한미군 감축을 협상 카드로 사용할 것을 차단하기 위해서라는 얘기가 있는데요?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제보) 카톡/라인 jebo23
(끝)
<출연 : 임성준 전 청와대 외교안보수석·전현준 우석대학교 초빙교수>
북한이 한국과 미국 공군의 대규모 연합공중훈련인 맥스선더 훈련을 맹비난하며 오늘로 예정됐던 남북고위급회담을 무기한 연기한다고 통보했습니다.
이와 함께 미국은 수뇌 상봉 운명을 숙고해야 한다는 경고성 발언도 내놓아 향후 북미정상회담 일정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관련 내용 임성준 전 청와대 외교안보수석, 전현준 우석대학교 초빙교수와 짚어보겠습니다.
어서 오십시오.
<질문 1> 북한이 맥스선더 훈련을 이유로 들면서 오늘로 예정됐던 남북고위급회담을 무기한 연기하겠다고 했습니다. 오전 10시로 예정된 고위급회담 시작 시각을 채 10시간도 남겨놓지 않은 시점이었는데요. 맥스선더 훈련이 예고 없이 실시되는 것도 아닌데, 북한이 갑자기 왜 이런 결정을 내렸을까요?
<질문 1-1> 북한은 미국도 북미정상회담 운명을 심사숙고해야 한다. 이런 경고성 발언을 했습니다. 최근 핵폐기 방식을 놓고 북미 간에 의견 차이를 보였는데 이에 대한 반발이라고 볼 수 있을까요?
<질문 1-2> 북미정상회담이나 풍계리 핵실험장 폐기에 차질이 생기는 건 아닌가 하는 우려가 드는데요?
<질문 2> 북한의 속내가 무엇인지 헷갈리는 게, 북한이 우리 정부에 고위급회담 취소를 통보할 때와 비슷한 시각에 제네바 주재 UN 북한대사가 핵무기 실험 금지 노력에 참여할 계획이다, 라고 밝혔거든요. 이건 어떻게 봐야 할까요?
<질문 3> 북한이 북미정상회담에서 비밀 우라늄 농축시설 1~2곳의 존재를 공표하고 사찰에 응하겠다는 뜻을 밝힐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비밀 우라늄 농축시설을 공개한다는 것, 어떤 의미인가요?
<질문 4> 미국의 북한전문매체 38노스는 풍계리 핵실험장 현장에서 폐기 절차가 이미 시작됐다고 분석했습니다. 하지만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풍계리 핵실험장 폐기 뒤에 숨은 허점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북한의 '임계전 핵실험' 능력 때문인데요. 먼저 '임계전 핵실험'에 대해 설명 좀 부탁드립니다.
<질문 4-1> 임계전 핵실험이 가능하다면 CVID는 달성할 수 없는 것 아닌가요?
<질문 5> 폼페이오 국무장관이 한 인터뷰에서 북한이 미국 본토로 핵무기를 발사하는 것을 막는 것이 미국의 목표라는 발언을 했습니다. 이를 두고 트럼프 행정부의 대북 협상 목표가 모든 핵무기 제거에서 미국 본토 방어로 한발 물러선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고 있는데요.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6> 최근 한국과 미국에서 주한미군 감축 논란이 제기됐는데요. 미 의회가 의회 승인 없이는 주한미군 규모를 2만2,000명 이하로 감축할 수 없도록 하는 내용이 담긴 법안을 통과시켰습니다. 이를 두고 트럼프 정부가 북미정상회담에서 주한미군 감축을 협상 카드로 사용할 것을 차단하기 위해서라는 얘기가 있는데요?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제보)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ADVERTISEMENT
이 기사 어떠셨나요?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