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집고 미루고…'롤러코스터' 교육정책에 여론만 들썩

[앵커]

취임 1년을 맞은 문재인 대통령의 지지율이 역대 대통령 중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지만 유독 교육 분야는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교육부가 설익은 정책을 내놨다가 여론에 밀려 번복한 것이 한두번이 아니었는데요.

지난 1년 동안의 교육 정책, 강은나래 기자가 돌아봤습니다.

[기자]

자율형사립고와 외고 폐지는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 후보 시절 공약 중 하나였습니다.

일괄 폐지를 예고한 교육부는 그러나, 학교와 학부모 반발이 거세지자 지정·취소 권한을 교육감들에게 넘겼고 '책임 떠넘기기'라는 비판이 나왔습니다

<김상곤 /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선진 교육국들 입시의 핵심입니다. 수능 절대평가 과정을 거쳐가는 것이 필요하다고…"

지난해 8월에는 수능 절대평가 전환 개편안을 발표하려다 학생과 학부모 반대 여론에 밀려 결정을 1년 유예했습니다.

선행학습을 없앤다는 명분을 앞세워 꺼내들었던 '어린이집 영어특별활동 금지 방침'도 반발이 일자 20여일 만에 원점에서 재검토하기로 했습니다.

지난 달에는 그동안 수시 확대 기조와는 반대로 주요 대학에 정시 확대를 주문하기도 했습니다.

교육 정책의 이런 잦은 혼선은 냉혹한 평가로 이어졌습니다.

한국갤럽이 최근 시행한 여론조사 결과를 보면 교육 정책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는 30%에 그쳤습니다.

전체 국정 지지율의 절반에도 못 미칠 뿐만 아니라 주요 분야들 중 지지율 꼴찌입니다.

<김재철 /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대변인> "충분한 여론 (수렴) 내지는 사전 검토 없이 공약이라는 명제에 얽매여서 일방적으로 밀어붙인 측면이 있기 때문에 임기 내에 무리하게 공약을 실천하려는 조급증을 버리는 것이 중요하다…"

연합뉴스TV 강은나래입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제보)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ADVERTISEMENT

이 기사 어떠셨나요?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