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의 협치 공약…'강대강' 대치 반복한 1년

[앵커]

'협치를 해야한다', 정치권에서 항상 강조하지만 매번 높은 벽만 실감하게 하는 단어입니다.

문 대통령은 야당과의 대화를 강조했지만 갈등과 파열음은 반복됐습니다.

대통령의 협치 공약, 터닝포인트를 마련할 수 있을까요.

박상률 기자입니다.

[기자]

문재인 대통령은 취임 선서도 하기 전에 자유한국당 당사부터 찾았습니다.

<문재인 / 대통령> "야당과도 소통하고 대화하고, 때로는 타협도 하고, 함께 국정의 동반자로 여기는 자세로…"

하지만 첫 내각을 짜는 조각부터 난항을 겪었습니다.

헌법재판소장 후보자 인준안이 헌정 사상 처음으로 부결되기도 했습니다.

<정세균 / 국회의장> "헌법재판소장 김이수 임명 동의안은 부결되었음을 선포합니다."

<윤영찬 / 국민소통수석> "(부결사태는) 무책임의 극치, 반대를 위한 반대로 기록될 것…"

자유한국당 홍준표 대표는 아예 문 대통령과의 회동 자체를 거부했고,

<홍준표 / 자유한국당 대표> "본부중대. 1,2,3중대 불러가지고 사단장 사열하는 식으로, 그런 식으로 밥 먹는 자리에 아무런 갈 이유가 없다…"

지난 3월에야 두 사람이 만났지만 개헌 이슈를 둘러싸고 여야는 얼굴만 붉혔습니다.

야당은 '국회 패싱'이라며 청와대를 맹비난했고 여당은 '몽니'라고 맞섰습니다.

<김성태 / 자유한국당 원내대표> "대의기관인 국회를 거들떠보지도 않겠다는…"

<박주선 / 바른미래당 공동대표> "국회를 무시하는 제왕적 대통령의 오만이자 국민이 만들어준 국회 협치 구도를 파괴하는 행위…"

<우원식 /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조속한 국민개헌을 바라는 국민들의 염원도 안중에 없는 모양…"

결국 추경안이나, 개헌, 각종 민생법안까지 모두 올스톱된 채 여야는 '네 탓 공방'만 이어가며 정권 출범 1년을 맞았습니다.

야당에 협력을 호소하는 문 대통령과 일방통행식 정국 운영을 멈추라는 야당.

도돌이표처럼 불협화음이 반복되면서 협치의 길은 여전히 멀고도 험해 보입니다.

연합뉴스TV 박상률입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제보)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ADVERTISEMENT

이 기사 어떠셨나요?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