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미정상회담 '싱가포르' 막판 급부상…"판문점은 부담?"

[앵커]

세기의 담판이 될 북미정상회담의 개최지로 싱가포르가 막판에 급부상하고 있습니다.

두 정상의 이동과 경호 등 여러 인프라가 잘 갖춰진 데다 판문점은 상징성 면에서 부담이 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워싱턴에서 강영두 특파원입니다.

[기자]

트럼프 대통령이 북미정상회담 개최지로 언급했던 판문점 대신 '싱가포르'가 막판 급부상하고 있습니다.

싱가포르는 외교적 중립지역으로 과거 북미 간 비공식 접촉이 이뤄진 곳인 데다 두 정상의 이동과 경호, 미디어 접근성 등 면에서 인프라가 잘 갖춰졌다는 평가 때문입니다.

지난 2015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마잉주 대만 총통간 양안 분단 66년 만의 첫 정상회담도 싱가포르에서 열렸습니다.

지리적으로도 평양에서 4천700km 거리로 중간 급유없이 비행할 수 있고 미국과 북한 대사관이 모두 자리 잡고 있다는 점에서 실무 준비에 유리하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판문점의 경우 상징성이 크기는 하지만 오히려 그 상징성이 미국 측에는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지난달 남북정상회담이 열렸던 데다 비핵화 담판 보다는 한반도 평화와 관련한 합의를 도출해내야하는 정치적 부담이 있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미국 입장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판문점에 가는 것 자체가 북미 간 합의가 최종 지점에 이르렀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어 협상 전략상 불리한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판문점은 지난 3월 트럼프 대통령이 북미 정상회담을 수락할 당시에도 후보지로 거론됐지만 한국의 중재역할에 관심이 집중될 수 있다는 점에서 배제됐던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워싱턴 일각에서는 트럼프 대통령 특유의 예측불허한 성격이 장소 선정의 마지막 변수가 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옵니다.

워싱턴에서 연합뉴스 강영두입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제보)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ADVERTISEMENT

이 기사 어떠셨나요?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