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초점] 미 'PVID' 표현 주목…북미회담 개최 장소는?
<출연 : 임성준 전 청와대 외교안보수석·봉영식 연세대 통일연구원 연구위원>
남북 정상회담 이후 한반도 해빙 무드가 조성되고 있는 가운데 이제 시선은 북미 정상회담으로 쏠리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문 대통령은 중재외교 행보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두 분과 자세한 소식 짚어보겠습니다.
임성준 전 청와대 외교안보수석, 봉영식 연세대 통일연구원 연구위원 어서 오세요.
<질문 1>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틀째 북미 정상회담 개최 장소 및 날짜가 모두 정해졌다고 말했습니다. 곧 발표하겠다던 장담과 달리 실제 발표는 여전히 뜸을 들이고 있는데, 배경을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2> 트럼프 대통령이 언급한 판문점이 북미 회담이 열릴 유력한 후보로 부상했지만, 싱가포르 쪽으로 기우는 분위기도 감지되고 있습니다. '극적인 효과'를 위해 막판에 판문점을 최종 장소로 택할 가능성이 있을까요? 싱가포르로 선택한다면 이유는 무엇일까요?
<질문 3> 당초보다 늦어진 22일 한미 정상회담 개최 일정이 확정되면서, 북미 정상회담도 순차적으로 늦어질 것이란 전망이 나옵니다. 게다가 다음 달 8-9일 캐나다에서 열리는 G7 정상회의도 변수인데요. 북미 회담은 그 이후가 될까요?
<질문 4> 한미 회담에선 아무래도 북미 정상회담을 앞둔 만큼 긴밀한 조율이 중요한 의제가 되겠죠? 특히 핵폐기 일괄타결, 즉 리비아식 해법을 강조하는 미국과 단계적·동시적 해법을 선호하는 북한의 이견차가 분명한데 이 부분은 어떻게 조율이 될까요?
<질문 5> 이런 가운데 최근 폼페이오 국무장관이 북핵 문제 해결 방식으로 '완전하고 검증가능하며 불가역적인 폐기(CVID)'가 아닌 '영구적이고 검증가능하며 불가역적인 폐기(PVID)'로 표현하면서 배경이 주목됩니다. 어떤 의도로 보십니까?
<질문 6> 만약 북한이 '영구적이고 검증가능하며 불가역적인 폐기(PVID)' 방식을 받아들인다면 그 대가로 무엇을 청구하게 될까요? 미국이 가진 보상 카드는 무엇입니까?
<질문 7>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논란이 되고 있는 주한미군 주둔 문제에 대해 북미 정상회담 의제가 전혀 아니라고 못을 박았습니다. 다만 "미래 어느 시점에서는 비용을 아끼고 싶다"고 말해 여운을 남겼는데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요?
<질문 8>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완전한 비핵화를 공식석상에서 천명하면서 이를 현실화하기 위해서는 미국을 포함한 중·러·일의 협력도 반드시 필요합니다. 문 대통령의 특히 9일 도쿄에서 열리는 한중일 정상회의가 중요한 교두보가 될 텐데,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질문 9> 판문점 선언의 후속 조치가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서해 북방한계선 인근 연평도와 백령도에 외교 안보 부처 장관들이 총출동했는데요. 과거 남북 간 서해 평화수역·공동어로구역 설정은 끝내 이견이 좁혀지지 않아 불발된 바 있죠. 합의에 이르기까지 가장 핵심 쟁점은 무엇이 될까요?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제보) 카톡/라인 jebo23
(끝)
<출연 : 임성준 전 청와대 외교안보수석·봉영식 연세대 통일연구원 연구위원>
남북 정상회담 이후 한반도 해빙 무드가 조성되고 있는 가운데 이제 시선은 북미 정상회담으로 쏠리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문 대통령은 중재외교 행보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두 분과 자세한 소식 짚어보겠습니다.
임성준 전 청와대 외교안보수석, 봉영식 연세대 통일연구원 연구위원 어서 오세요.
<질문 1>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틀째 북미 정상회담 개최 장소 및 날짜가 모두 정해졌다고 말했습니다. 곧 발표하겠다던 장담과 달리 실제 발표는 여전히 뜸을 들이고 있는데, 배경을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2> 트럼프 대통령이 언급한 판문점이 북미 회담이 열릴 유력한 후보로 부상했지만, 싱가포르 쪽으로 기우는 분위기도 감지되고 있습니다. '극적인 효과'를 위해 막판에 판문점을 최종 장소로 택할 가능성이 있을까요? 싱가포르로 선택한다면 이유는 무엇일까요?
<질문 3> 당초보다 늦어진 22일 한미 정상회담 개최 일정이 확정되면서, 북미 정상회담도 순차적으로 늦어질 것이란 전망이 나옵니다. 게다가 다음 달 8-9일 캐나다에서 열리는 G7 정상회의도 변수인데요. 북미 회담은 그 이후가 될까요?
<질문 4> 한미 회담에선 아무래도 북미 정상회담을 앞둔 만큼 긴밀한 조율이 중요한 의제가 되겠죠? 특히 핵폐기 일괄타결, 즉 리비아식 해법을 강조하는 미국과 단계적·동시적 해법을 선호하는 북한의 이견차가 분명한데 이 부분은 어떻게 조율이 될까요?
<질문 5> 이런 가운데 최근 폼페이오 국무장관이 북핵 문제 해결 방식으로 '완전하고 검증가능하며 불가역적인 폐기(CVID)'가 아닌 '영구적이고 검증가능하며 불가역적인 폐기(PVID)'로 표현하면서 배경이 주목됩니다. 어떤 의도로 보십니까?
<질문 6> 만약 북한이 '영구적이고 검증가능하며 불가역적인 폐기(PVID)' 방식을 받아들인다면 그 대가로 무엇을 청구하게 될까요? 미국이 가진 보상 카드는 무엇입니까?
<질문 7>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논란이 되고 있는 주한미군 주둔 문제에 대해 북미 정상회담 의제가 전혀 아니라고 못을 박았습니다. 다만 "미래 어느 시점에서는 비용을 아끼고 싶다"고 말해 여운을 남겼는데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요?
<질문 8>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완전한 비핵화를 공식석상에서 천명하면서 이를 현실화하기 위해서는 미국을 포함한 중·러·일의 협력도 반드시 필요합니다. 문 대통령의 특히 9일 도쿄에서 열리는 한중일 정상회의가 중요한 교두보가 될 텐데,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질문 9> 판문점 선언의 후속 조치가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서해 북방한계선 인근 연평도와 백령도에 외교 안보 부처 장관들이 총출동했는데요. 과거 남북 간 서해 평화수역·공동어로구역 설정은 끝내 이견이 좁혀지지 않아 불발된 바 있죠. 합의에 이르기까지 가장 핵심 쟁점은 무엇이 될까요?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제보)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ADVERTISEMENT
이 기사 어떠셨나요?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