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포커스] 문정인 "주한미군 철수를 얘기한 적 없다"
<출연 : 전현준 우석대학교 초빙교수ㆍ이인배 한반도미래포럼 수석연구위원>
주한미군 철수 문제를 제기해 파장을 일으킨 문정인 특보가 오해가 있었다고 해명했습니다.
자신은 주한미군 철수를 주장한 적이 없으며 평화협정 체결 후에도 주한미군의 한반도 주둔이 바람직하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한편 폼페이오 국무장관이 북핵과 관련해 CVID보다 더 강한 용어인 PVID라는 표현을 사용해 그 의미에 관심이 모아집니다.
전현준 우석대학교 초빙교수, 이인배 한반도미래포럼 수석연구위원 나오셨습니다.
어서 오십시오.
<질문 1> 주한미군 철수를 주장한 적이 없고, 평화협정 체결 후에도 주한미군의 주둔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문정인 특보의 해명, 어떻게 들으셨습니까? 논란을 잠재울 수 있을까요?
<질문 2> 폼페이오 국무장관이 북핵 문제 해결방식으로 'PVID, 영구적인 비핵화'라는 새로운 기준을 제시했습니다. 지금까지 미국 정부의 북핵 문제 공식 입장은 CVID, 완전한 비핵화였는데요. '완전한'에서 '영구적인'으로 바뀐 배경은 뭘까요?
<질문 2-2> 비핵화 잣대를 더 높인 것으로 보이는데요? 비핵화의 범위를 어디까지 염두에 둔 발언일까요?
<질문 2-3> 조명균 통일부 장관은 "김정은이 남북정상회담에서 '비핵화의 구체적인 내용을 북미회담에서 논의하겠다'고 했다"고 전했는데요. 일본 아사히신문이 북미관계 소식통의 말을 인용해 보도한 것에 따르면, 북한이 북미 정상회담을 위한 양국 사전협의에서 미국이 요구하는 방법으로 핵을 전면 폐기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고 했습니다. 이 내용이 맞다면 북미회담 합의문에 CVID 혹은 PVID가 담기는 걸까요?
<질문 3> 정상회담을 앞두고 북한과 미국이 활발한 물밑 접촉을 벌이고 있는 듯 한 모습인데요.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에 억류된 한국계 미국인들이 곧 석방될 것임을 시사했죠? 트럼프 변호인단인 줄리아니는 이르면 '오늘' 풀려날 거라고 했는데요?
<질문 3-1> 북한에 억류 중인 우리 국민 6명도 풀려날 수 있을까요?
<질문 4> 북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급하게 북한을 방문했던 중국 왕이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이 어제 김정은 위원장을 만났습니다. 공식 발표문에는 포함돼 있지 않지만, 왕 국무위원은 김 위원장에게 '중국의 역할론'을 강조했을 거란 관측이 나오는데요.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4-1> 왕이 국무위원의 적극적인 메시지에도 김정은 위원장은 북중 우호관계와 중국과의 소통 강화는 언급했지만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과정 협의에서 중국을 포함하겠다는 구체적인 언급은 없었습니다. 어떤 의미일까요?
<질문 5> 김정은 위원장은 왕이에게 "북한은 한반도 평화를 위협하는 근원을 없애는 방법을 찾으려 한다"라는 말을 했고요. 왕 국무위원은 김 위원장에게 "중국은 비핵화 추진 과정에서 자신의 정당한 안보 우려를 해결하는 것을 지지한다"고 했는데요. 김 위원장이 말한 '평화를 위협하는 근원'과 왕 국무위원이 말한 '안보 우려 해결'은 무엇을 말하는 걸까요?
<질문 6> 판문점선언 이행추진위원회가 이달 중순 전에 남북 고위급 회담 개최를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북미회담 전에 하게 될까요? 또 주요 의제는 무엇이 될까요?
<질문 7> 이런 가운데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비공개로 방미길에 올랐습니다. 이번 방문은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보좌관을 만나 북미정상회담 개최와 관련한 막판협의를 진행하기 위한 것으로 보이는데요.
지금까지 전현준 우석대학교 초빙교수, 이인배 한반도미래포럼 수석연구위원이었습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ㆍ제보) 카톡/라인 jebo23
(끝)
<출연 : 전현준 우석대학교 초빙교수ㆍ이인배 한반도미래포럼 수석연구위원>
주한미군 철수 문제를 제기해 파장을 일으킨 문정인 특보가 오해가 있었다고 해명했습니다.
자신은 주한미군 철수를 주장한 적이 없으며 평화협정 체결 후에도 주한미군의 한반도 주둔이 바람직하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한편 폼페이오 국무장관이 북핵과 관련해 CVID보다 더 강한 용어인 PVID라는 표현을 사용해 그 의미에 관심이 모아집니다.
전현준 우석대학교 초빙교수, 이인배 한반도미래포럼 수석연구위원 나오셨습니다.
어서 오십시오.
<질문 1> 주한미군 철수를 주장한 적이 없고, 평화협정 체결 후에도 주한미군의 주둔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문정인 특보의 해명, 어떻게 들으셨습니까? 논란을 잠재울 수 있을까요?
<질문 2> 폼페이오 국무장관이 북핵 문제 해결방식으로 'PVID, 영구적인 비핵화'라는 새로운 기준을 제시했습니다. 지금까지 미국 정부의 북핵 문제 공식 입장은 CVID, 완전한 비핵화였는데요. '완전한'에서 '영구적인'으로 바뀐 배경은 뭘까요?
<질문 2-2> 비핵화 잣대를 더 높인 것으로 보이는데요? 비핵화의 범위를 어디까지 염두에 둔 발언일까요?
<질문 2-3> 조명균 통일부 장관은 "김정은이 남북정상회담에서 '비핵화의 구체적인 내용을 북미회담에서 논의하겠다'고 했다"고 전했는데요. 일본 아사히신문이 북미관계 소식통의 말을 인용해 보도한 것에 따르면, 북한이 북미 정상회담을 위한 양국 사전협의에서 미국이 요구하는 방법으로 핵을 전면 폐기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고 했습니다. 이 내용이 맞다면 북미회담 합의문에 CVID 혹은 PVID가 담기는 걸까요?
<질문 3> 정상회담을 앞두고 북한과 미국이 활발한 물밑 접촉을 벌이고 있는 듯 한 모습인데요.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에 억류된 한국계 미국인들이 곧 석방될 것임을 시사했죠? 트럼프 변호인단인 줄리아니는 이르면 '오늘' 풀려날 거라고 했는데요?
<질문 3-1> 북한에 억류 중인 우리 국민 6명도 풀려날 수 있을까요?
<질문 4> 북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급하게 북한을 방문했던 중국 왕이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이 어제 김정은 위원장을 만났습니다. 공식 발표문에는 포함돼 있지 않지만, 왕 국무위원은 김 위원장에게 '중국의 역할론'을 강조했을 거란 관측이 나오는데요.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4-1> 왕이 국무위원의 적극적인 메시지에도 김정은 위원장은 북중 우호관계와 중국과의 소통 강화는 언급했지만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과정 협의에서 중국을 포함하겠다는 구체적인 언급은 없었습니다. 어떤 의미일까요?
<질문 5> 김정은 위원장은 왕이에게 "북한은 한반도 평화를 위협하는 근원을 없애는 방법을 찾으려 한다"라는 말을 했고요. 왕 국무위원은 김 위원장에게 "중국은 비핵화 추진 과정에서 자신의 정당한 안보 우려를 해결하는 것을 지지한다"고 했는데요. 김 위원장이 말한 '평화를 위협하는 근원'과 왕 국무위원이 말한 '안보 우려 해결'은 무엇을 말하는 걸까요?
<질문 6> 판문점선언 이행추진위원회가 이달 중순 전에 남북 고위급 회담 개최를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북미회담 전에 하게 될까요? 또 주요 의제는 무엇이 될까요?
<질문 7> 이런 가운데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비공개로 방미길에 올랐습니다. 이번 방문은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보좌관을 만나 북미정상회담 개최와 관련한 막판협의를 진행하기 위한 것으로 보이는데요.
지금까지 전현준 우석대학교 초빙교수, 이인배 한반도미래포럼 수석연구위원이었습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ㆍ제보)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ADVERTISEMENT
이 기사 어떠셨나요?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